통계청은 6년 뒤인 2026년이면 65세 이상의 인구가 현재보다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고령인구의 증가는 세계적 현상의 하나로, 2050년이면 60세 이상의 세계인구가 20억명에 이르게 되고, 이들 중 75%가 도시에 살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중소도시의 지속적인 인구감소는 멀지 않은 장래에 지방소멸을 초래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2019년 기준 전국 228개 시ㆍ군ㆍ구 중 42.5%에 해당하는 97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조사되었다. 바로 이런 배경에서 고령친화도시 조성은 특정 계층을 위한 복지적 차원의 과제가 아니라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현실적 과제이다. 이러한 상황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지방소멸과 고령화 사회의 의미를 저출산율과 고령화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WHO가 제시한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에 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하여 지방소멸 위험의 대안으로서 고령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실증적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ver the next 6 years, the number of people aged over 65 in our nation will increase by over 20 per cent. This is part of global phenomenon that will result in 2 billion people aged over 60 worldwide by 2050, with 75 per cent of the global population expected to live in cities by that time. As global society ages, we will witness an increasing number of older people living, working and participating in mainstream society for longer, and the elderly will cease to be a minority group.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population loss in small cities will cause local extinction in the near future.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build age-friendly city as an alternative for removing local extinction risk. Based on this situ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local extinction and the meaning of ageing society from the low birth rate and ageing population perspectives respectively. Then this study reviews WHO’s age-friendly city guideline to propose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the building of age-friendly city as an alternative for removing local extinction risk.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고령친화도시의 의의
Ⅳ. 고령친화도시 조성방안
Ⅴ.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