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청 지역 세균각막염 환자의 연령에 따른 임상 분석
Age-related Clinical Analysis of Bacterial Keratiti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s: a Multicenter Study
- 대한안과학회
- 대한안과학회지
- 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12
-
2020.121414 - 1423 (10 pages)
-
DOI : 10.3341/jkos.2020.61.12.1414
- 이용수 4

초록
목적: 대전충청 지역의 세균각막염의 연령에 따른 임상양상 및 위험인자,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 퀴놀론계 항생제 내성균의 양상 및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대전충청 지역 5개 대학병원 안과에서, 배양검사를 통해 세균각막염으로 진단된 환자 433명(433안)을 대상으로 60세 기준으로 고연령군과 저연령군으로 나누어 감염원인, 예후인자, 치료법, 원인균, 퀴놀론계 항생제 감수성 등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남자가 273명(63%), 여자가 160명(37%)이었다. 저연령군에서 가장 흔한 위험인자는 콘택트렌즈 착용(27.5%)과 외상 및 이물(27%)이었고, 고연령군에서 가장 흔한 위험인자는 외상 및 이물(30.5%)이었다. 원인균으로는 연령에 상관없이 그람양성균 중 포도알균종이 가장 많았고, 그람음성균 중에서는 녹농균이 가장 많았다. 고연령군에서는 저연령군보다 각막염의 정도가 심하고,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시력예후도 더 나쁜 결과를 보였다(p<0.05). 2011년을 기준으로 퀴놀론계 항생제에 대한 내성은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대전충청 지역의 세균각막염은 고연령군에서 더 심하고, 예후도 나쁜 양상을 보이며, 이는 타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인다. 모든 연령군에서 외상 및 이물에 대한 주의와 기존 안질환의 관리가 필요하고, 저연령군에서는 콘택트렌즈 착용에 대한 교육 및 위생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e-related clinical features, risk factors, and prognoses of bacterial keratiti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s and the patterns and trends of fluoroquinolone antibiotic susceptibility. Methods: Medical records of 433 patients (433 eyes) who visited one of the five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s and were diagnosed as culture-positive bacterial keratitis between January 2000 to December 201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younger and older groups based on an age of 60 years. Predisposing factors, prognostic factors, treatment method, causative organisms, and susceptibility to fluoroquinolone were analyzed. Results: Two hundred seventy three males (63.0%) and 160 females (37.0%) were included. The most common risk factors in the younger group were contact lens wear (27.5%) and trauma and foreign body (27.0%). The most common risk factors in the older group were trauma and foreign body (30.5%). Staphylococcus species was the most common causative Gram-positive bacteria, regardless of age, and Pseudomonas species was the most common among Gram-negative bacteria. The older group tended to have more severe keratitis required more surgical treatment and had a worse visual outcome than the younger group (p < 0.05). As of 2011, the resistance to fluoroquinolon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p > 0.05). Conclusions: Bacterial keratiti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s indicated more severe clinical aspects and worse prognoses in older patients showing similar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Caution regarding trauma and foreign bodies and managing previous ocular disease is necessary for all age groups. Education regarding adequate contact lens care and hygiene is required for younger (<60 years) patient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0)
-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낭포황반부종에서 브롬페낙 점안약의 효과
-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식술 후 이식편 실패가 온 환자에서의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
- 다층콜라겐막을 이용한 각막궤양의 각막천공 치료 증례
- 안구돌출 환자에서 진단된 시신경집 수막류
- 매뉴얼 트레파인과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한 전층각막이식의 장기 임상결과 비교
- 서부 경남 지역 감염안내염의 원인균과 임상양상
- 미니공막렌즈에서 반복적인 산화 에틸렌 멸균 전후 렌즈 척도들의 변화 여부 분석
- 응급실에서 지연 진단된 급성폐쇄각녹내장 환자에 대한 고찰
- 급성후유리체박리 이후 망막전막의 발생률 및 위험인자
- 급성폐쇄각녹내장 발작 반대편안의 예방적 레이저홍채절개술 후 안압 변화와 관련된 요인
- 안구 내 실리콘기름주입술 이후 발생한 위눈꺼풀의 지방육아종 염증 및 눈꺼풀처짐
- 젊은 남성에서 발생한 Relentless Placoid Chorioretinitis
- 치료 경험이 없는 당뇨황반부종에서 유리체내 덱사메타손삽입물-베바시주맙 병합요법과 베바시주맙 단독 요법의 단기 치료 결과 비교
- 급성망막동맥폐쇄 환자에서 동맥 내 혈전용해술 효과
- 일차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맥락막혈관지수 분석
- 간헐외사시 환자에서 주시안과 비주시안의 망막 및 맥락막혈관의 차이 비교
- 대전충청 지역 세균각막염 환자의 연령에 따른 임상 분석
- 조니사미드 복용 후 발생한 급격한 근시 변화 및 전방깊이의 감소
- 눈물길미세내시경 소견에 따른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 분석
- 소아에서 성장호르몬 치료 중 발생한 특발유두부종과 결합된 가성유두부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