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미군정기 폴리사절단의 방한과 한국 관련 정책 제안

The Pauley Mission to Korea in 1946 and its Policy Suggestions

  • 24

이 글은 2차 세계대전 전후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 속에서 다뤄진 한국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폴리사절단의 활동에 주목했다. 폴리사절단은 1945년 5월부터 1946년 말까지 유럽과 동아시아 지역의 배상문제를 조사하고, 정책을 제안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이를 위해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사절단에 합류했다. 1차 사절단은 주로 일본 내의 산업을 조사하는 임무를 맡았고, 2차 사절단은 일본의 재외자산에 대해 조사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그리고 여기에는 소련이 점령하고 있던 북한과 만주 지역도 포함되어 있었다. 사절단의 규모는 조사 활동이 진행될수록 커졌고, 세분화되었다. 사절단의 활동은 미 국무부의 주도하에 재무부와 전쟁부 등 각 부처의 협력과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고, 여러 기업인과 학자들이 참여했다. 여기에는 한국인 통역관들도 합류했는데, 그중에는 해방 이후 이승만의 심복으로 활동했던 장석윤도 포함되어 있었다. 사절단의 일거수일투족은 언론을 통해 한국인들에게 알려졌다. 한국에서 사절단은 소련의 정책과 의도에 대해 관찰하고 보고했으며, 종전 직후 외교공관이 설치되지 않은 시점에서 외교사절의 임무까지 수행했다. 결과적으로 미국의 배상정책은 사절단의 활동 이후 180도 역전되었지만, 이러한 급격한 변화 속에서도 폴리사절단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경험은 여전히 유효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activities of the Pauley Mission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ast Asia policy of the United States before and after World War Ⅱ and the suggestions relating to Korea. Edwin W. Pauley conducted missions to investigate and propose policies for reparations in Europe and East Asia from May 1945 to the end of 1946. The first mission was primarily responsible for investigating industries in Japan, and the second was to investigate Japanese external assets (敵産). These included the assets in North Korea and Manchuria, which were occupied by the Soviet Union. The suggestions of the Pauley Mission were approved by the General Headquarters of 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 (GHQ/SCAP) and the Far Eastern Commission (FEC), but it was not properly implemented. As a result, the United States-led reparations policy of East Asia was reversed 180 degrees from 1945 until the September 8, 1951 San Francisco Peace Treaty. The concern of the United States in East Asia shifted to the regional integration strategy centered on Japan as a result of chang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formation of the Cold War. The borders of the two great powers were formed around the 38th Parallel of Korea, not Japan, which was a war crime country. In this process,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the Pauley Mission was still valid.

1. 머리말

2. 사절단의 방한 배경

3. 사절단의 인적 구성

4. 사절단의 북한 방문과 한국 관련 정책제안

5.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