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식민지 시대 폴란드 한의사 유경집의 유라시아 디아스포라와 해외 조선인 네트워크

Eurasian Diaspora Oriental Doctors in Poland and Overseas Korean Network at Korean Colonial Era

  • 21

1920년대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한약방을 운영하던 ‘류초시’라는 한의사, 1988년 안중근 의거의 어린 동지로서 독립운동 유공자로 공훈·추서된 유동하, 그리고 1989년 소련 해체 후 한국에 소개된 유라시아 다아스포라 가족(유동주·유동선 남매), 이 세 인물(군)들은 1890년대 러시아로 이주한 유경집(류초시)의 가족이다. 본고는 유라시아 디아스포라 유경집(류초시)을, 텍스트 발굴, 개인 생애사의 추적, 그 개인이 위치하고 관계 맺은 사회·역사적 맥락을 통해, 그의 이산의 생애를 복원·재구성하고 그 의미를 탐구했다. 유경집 본인의 1937년 귀환 인터뷰 및 고백 서사, 그 자기서사에서 숨기고 있었던 1909년의 안중근 사건, 그리고 1920년대 식민지조선과의 접속을 보여주는 근거들로 단층화된 한 개인 이산자의 다층적 국면에 접근하고자 했다. 나아가 유경집(류초시)이라는 개인 사례를 넘어, 식민지시대 해외이주 조선인과 식민지 조선 내부와의 관계를 논했다. 특히 3post(제1차 세계대전이후, 1917년 소비에트 혁명 이후, 동아시아에서의 3·1운동 및 5·4운동 이후) 시기 미디어 통신 네트워크 기반하의 인적·담론적 교류의 광역적 이동성, 이 광역적 이동성하의 세계와 아시아 식민지 지역이 공유한 정치적 비전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첫째 한 개인의 유라시아 지역 디아스포라의 실체를, 둘째 개인이산자가 고국과 접속되는 방식과 경로를, 셋째 그 경로가 위치한 근대 미디어 및 통신네트워크 및 세계체제와 광역적 시공간적 지평의 자장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탐색의 과정 속에서 1937년 귀환서사가, 실재했던 민족주의적 저항의 기억과 세계와의 광역적 접속의 기억을 은폐하는 정치적 맥락을 논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해외독립운동’이라는 ‘일국사적 내셔널 프레임’을 다르게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In the 1920s, he was a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 who was operating Oriental Hospital in Warsaw, Poland. As a young colleague of Ahn Jung-geun’s body in 1988, he was awarded as an independent activist. And after the dismantling of the Soviet Union in 1989, These are scattered both temporally and spatially. These three figures are a family of Yoo-Kyungjeep(劉敬緝=Ryu-chosi:劉初試) who moved to Russia in the 1890s. This article restructured and restored the life of disciples of Eurasian Diaspora(Ryucho si) and explored its meaning. Through the textual discovery, the tracking of personal life history, and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individual is located and related. Through this, I illuminated the portrait of The Eurasian Diaspora Yu-Kyungjeep in the following three contexts. 1) Korean National Movement in Russia from 1909 to early 1910’s. It i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Ahn Jung-geun. 2)1920s European Overseas Korean Network, 3) Eurasian Diaspora returnees who hid their status and career in 1937(The late 1930s, the late Colonial Fascist War). Furthermore, this article goes beyond the ‘Ryu’ individual case and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nial period overseas migrant Koreans and the inside of colonial Korea. Particularly, the global mobility of human interchange of knowledge ·discourse·based on the media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the period of 3post (after World War I, after the Soviet revolution of 1917, after the 3·1 movement in Asia and after the 5·4 movement) I looked at the political vision shared by the Asian colonies. The following discussion was conducted through this. The first one is about the reality of Diaspora in the Eurasian region, the second is how the discrete individual is connected with the homeland, the third is the modern media and communication network, the world system and the global spatial and temporal horizon. In other words,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 in 3 post (after World War I, after the Soviet Revolution of 1917, after the 3·1 movement in Asia and after the 5·4 movement).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Diaspora return narrative in 1937, which hid the memory of the connection, and the fifth, the possibility of thinking differently about the national paradigm of the inter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1. 머리말

2. 1937년 유라시아 디아스포라 귀환자의 자기서사

3. 1909년 ‘장남의 하얼빈 사건’: 재러시아 민족운동과 유경집의 행적

4. 3post 시기(1920년대) 해외 조선인 네트워크와 폴란드의 유경집

5. 맺음말: 내셔널 프레임과 유경집 국경 넘기 기록서사 프레임의 절합과 단층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