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학술저널

초등체육에서 기초 운동기능의 중요성과 과제

The importance and task of fundamental motor skills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간행물 정보
  • 이용수 154
154516.jpg

키워드

초록

본 연구는 운동 발달단계에서 기초 운동기능의 중요성을 고찰하고, 이를 체육교육의 ‘기초학력’으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기초 운동기능이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초 운동기능의 체계적인 지도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른 제안은 첫째, 체육교과의 제1 목표를 운동능력 발달로 제시함으로써 체육교육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초 운동기능을 체육교과 내용의 기본이며, 동시에 지속성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학력’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체육교육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1-2학년에서 체육교과가 부활되어야 한다. 넷째, 기초 운동기능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다섯째, 운동기능의 발달에 대한 기초지식과 수행 및 지도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현직교사 연수를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교육의 시작은 가정이므로 가정의 체육문화 형성을 위한 지도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fundamental motor skills in the stage of motor development, and attempted to give them meaning as the basic academic ability of physical education. Furthermore, it critically analyzed how basic motor skills we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Based on this, an improvement plan was sought for systematic guidance of fundamental motor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Sugges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first goal of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learly present the development of motor 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goal of physical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fundamental motor skills as basic academic ability. Fundamental motor skills are the basics of the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basic academic ability to continue physical activity. Third,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must be revived. It should be made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of education, preventing the break in the basic academic ability(fundamental motor skills) that must be acquired in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programs for instruction of basic motor skills. Fif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for guiding motor development. In particular, in-service training that can cultivate basic knowledge, performance ability and instructional ability about the development of motor skills should be strengthened. Lastly, guidance is needed to form a home sports culture. The starting point of any education is home. It can be said that physical education also begins on a home basis.

목차

Ⅰ. 서 론

Ⅱ. 기초 운동기능

Ⅲ. 기초학력으로서 기초 운동기능

Ⅳ. 교육과정에서의 기초 운동기능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