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들은 왜 고액을 기부하는가?
고액기부의 이유, 의미, 삶의 변화를 중심으로
- 박주홍(Park, Ju-Hong) 이수향(Lee, Su-Hyang)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6권 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6
- 219 - 261 (43 pages)
본 연구는 고액기부자의 기부행위와 경험에 대한 탐구를 통해 기부 활성화 및 기부문화 성숙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집단이 크지 않은고액기부의 특성상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1억 원 이상 고액기부자 8 명을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지속적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여러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고액기부를실행하였다. 그들은 ‘내 돈이 아닌 것 같아서, 빚을 갚으려고’, ‘돈이 더 가치있게 쓰였으면 해서’, ‘보고 자라서/보고 배워서’, ‘작은 것부터 하다 보니 어느새’, ‘부러워서’의 이유로 고액기부를 실천에 옮겼다. 그들이 고액기부에 부여하는 의미는 다양하고 복합적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고액기부에 대해 ‘오직 나만의 만족’, ‘자식에게 물려주고 싶은것’, ‘삶의 구심점’, ‘복을 부르는 것’, ‘기분 좋은 족쇄’, ‘숙제 끝!’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고액기부라는 행위의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삶은 ‘봉사가 생활이 되다, 그리고 중독되다’, ‘공부를 시작하다’, ‘또 다른 사명감을 갖게 되다’, ‘더 큰 꿈을 꾸다’와 같은 상당한 변화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고액기부의 동기는 복합적이며, 어린 시절 경험 및 주변사람들의 영향이 적지 않았고, 이전 기부 경험이 이후 고액기부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소액이더라도 기부활동이 반복될수록 더 큰 금액을 더욱 다양한 기관에 기부하게 되는 경향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고액기부가 고소득 ・노년층의 전유물이 아니며 고액기부를 통해 기부자의 삶이 변화한다는 점도 드러났다.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lay the foundation to increase donation activities and healthy donation culture through exploring donation behaviors and experiences of major donor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due to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of the major donors. Eight donors who donate more than 100 million won were selected as a snowball sampling metho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made a large amount of donation due to multiple reasons. They did donate as the following reasons ‘felt like it was not my money, and to pay off the debts’, ‘for more valuable use of money’, ‘watching and learning from parents and acquaintance’, ‘starting with even a small amount of money’, ‘inspired by the major donors’. The meaning behind their large charitable gifts was diverse and complex. Participants provided several meanings to their major gifts such as ‘only for self satisfaction , ‘to pass down virtue to my children , ‘the center of life , ‘bring blessing , ‘pleasing shackles , ‘end of homework!’. As the result of the major gift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such as ‘volunteer activities become part of my life and even experienced a slight obsession to it , ‘start study , ‘assigned with a new mission , ‘started to dream bigger .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motivation for major gifts was complex, indicating the experiences in child hood and the influence of peer group were rather significant. Also, the previous don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sequent major gifts. This study found that people tend to donate larger amount and to more organizations after the repeated small charitable giving.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major gifts were not exclusively made by high-income and older households as charitable giving is also a life changing experience for the donors.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