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631.jpg
KCI등재 학술저널

벌채 산물 수집이 산불연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inning Slash on Wildfire Fuel Type

  • 47

본 연구에서는 산불피해지 임분에서 산림조사를 수행하여 숲가꾸기 산물의 존치여부가 산불연료및 산불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벌채 산물을 포함한 연구대상지의 지표층 연료량은 약 38.92 ton/ha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소나무림의 평균 지표층연료량인 약 14.46 ton/ha와 비교하였을 때 2.7배 이상 많은 수치였다. 지표화 강도를 추정한 결과, 벌채 산물을 포함했을 때는 약 8,956.33 kW/m, 제외했을 때는 약 4,454.95 kW/m로 추정되어, 벌채산물로 인해 지표화 강도가 2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관화의 화염강도를 추정하기 위해서산 산불피해지와 군위산불피해지의 연소 후 남은 가지직경을 비교한 결과 군위산불은 약 0.75cm, 서산산불은 약 0.33cm로 측정되어 서산산불의 화염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을 것으로 판단했다. 본연구의 결과는 벌채 산물이 산불연료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인 결과로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nning is known as an important method not only for promoting healthy forest but for preventing crown fire transition and spread. However, if you do not collect thinning slash, it may serve as a factor in the spread of forest fire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observe the effects of thinning slash on fir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otal surface-fuel loads including thinning slash were estimated approximately 38.92 ton/ha in the study area, which was about 2.7 times more than that of Ⅳ Pinus densiflora stand in South Korea. Surface fire intensity (SFI) was measured at 8,956.33 kW/m with thinning slash, but 4,454.95 kW/m without thinning slash, which indicates a significant effect of thinning slash on SFI. The estimation of passive crown fire intensity showed that the fire spread rate was calculated as 0.4 km/h in Gunwi but calculated as 0.06 km/h in the study area.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serve as a good example to explain the effects of thinning slash on wildfire fuel type.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고찰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