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재난관리 조직체계 변화분석
An Analysis of Changes in Organizational Structure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6 No.10
- : KCI등재
- 2020.10
- 1 - 19 (19 pages)
재난으로부터 인명 및 재산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재난관리에 있어, 중앙정부의 역할과 기능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정부가 출범한 1948년부터 재난관리와 관련된 중앙정부의 조직개편과정을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재난관리조직 개편과정의 시기별 구분의 기준은 재난관리업무를 담당하였던 조직의 위계변화를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 재난관리조직 개편과정에 관한 자료는 발행된 보고서, 법령, 소속기관 직제, 기록물 등에서 수집하였으며, 분석대상이 되는 재난관리조직은 재난관리를 담당했던 부 단위조직부터 과 단위조직 모두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개편과정 분석은 통합과 분화의 원리의 관점에서 시기별 재난관리조직의 특성 및 조직개편 과정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한국 재난관리조직의 조직구조 및 개편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central gover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and function in disaster management in order to mitigate personal and property damages from disasters.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change undergone by the disaster management units of the Korean government since 1948 right after liberation. Temporal categorization of organizational changes was based on the hierarchical change of the organization in charge of disaster management tasks. We collected the data on the changes in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n Korea from published reports, laws, and organizational records. We analyzed all kinds of organizational units related to disaster management to deduct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hanges in each period and compared them based on the principles of division and coord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we derived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reform of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in Korea.
Ⅰ. 서 론
Ⅱ. 이론적 검토
Ⅲ. 연구설계
Ⅳ. 한국 재난관리조직 개편과정 분석
Ⅴ.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