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백작약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들의 항산화 활성, 트롬빈 억제 및 구강암세포주에서의 암전이 억제 및 암세포 사멸능을 확인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85.13%의 높은 항산화 활성과 87.54%의 높은 트롬빈저해 효과를 나타냈으며, 또한구강암세포주에서도 트롬빈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MMP-2/ pro-MMP-2이 높은 암전이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구강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사멸 효과는 물 추출물이 5배 이상의 높은 능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백작약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새로운 항산화제, 트롬빈억제제 및 암전이억제제의 개발을 위한 우수한 천연물 소재 후보 물질로서의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Paeonia japonica is a perennial flowering plant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P. japonica on anti-oxidative, anti-thrombin, anti-invasive and pro-apoptotic activities in YD-10B cells, human oral squamous carcinoma cell line. Water fraction reveal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at 11.44% (w/w). Anti-oxidative activity was the highest in ethyl acetate fraction (85.13%). In the thrombin inhibitory activity test, ethyl fraction was the highest, with a value of 87.54%. Release and activation of MMP-2/pro-MMP-2 ratio in thrombin-treated YD-10B cell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At a concentration of 120 ㎍/㎖,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P. japonica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YD-10B cells except water fraction. Pro-apoptotic effect on human oral squamous carcinoma cell using the Bax/Bcl-2 ratio analysis was higher in water extract than other frac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P. japonica potentiates a promising antioxidant, anti-thrombin and anti-invasive agent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2)
- 아마란스의 생육기간에 따른 건물생산성 및 종실 수량
- 개화기 신초비틀기에 의한 ‘캠벨얼리’ 포도의 착립 및 과실품질
- 진청색의 동시개화성 절화 용담품종 ‘스카이호프’ 육성
- Opuntia속(선인장과)의 한국 미기록 식물
-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날개카나리새풀(벼과)
- 범용성 DNA 바코드 분석 기반 한국산 천남성속(Arisaema) 식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 H9c2 심근세포에서 제주모시풀(Boehmeria quelpaertense)로부터 분리된 flavonoids의 H2O2로 유도된 독성 보호 효과
- 백작약(Paeonia japonica)의 항산화, 트롬빈 저해, 암전이억제 및 암세포사멸 평가
- 불명산(완주군)의 관속식물상
- 십자화과 작물의 종속간 교배를 통한 화색변화 경관용 자원식물 개발
- 수출용 촉성재배 딸기 신품종 ‘홍실’ 육성
- 황칠나무의 용매 분획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