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산 용담과 쓴풀속(Ophelia) 식물의 분류 1. 외부형태 및 분포

A taxonomic study of the Ophezia(Gentianaceae) in Korea 1. Externa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 8

한국산 쓴풀속(용담과) 식물 중 남한에 분포하는 5분류군과 변이체라 생각되는 1분류군, 총 6분류군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고 판별분석(44개의 양적형질)을 수행하여 절과 종간의 한계를 분명히 하여 종 동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북한에 분포하는 1분류군은 동경대학의 소장품을 관찰하여 분류군의 기재에만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밀선의 전체적 형태, 화관과 꽃받침의 열편수에 의해 2개 절로 구분되었으며 경생엽의 형태와 화관의 색과 무의에 의해 종간 구분이 가능하였다. 변이체라고 생각되었던 큰잎쓴풀(화관 열편에 자색 점무의를 갖는 분류군) A형은 자색 점 이외의 형질들에서는 전혀 차이를 찾아볼 수 없어 모종의 변이 폭에 넣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판별분석에 의해 쓴풀속의 식물들을 구별하는 중요한 양적형질은 화관에 관여하는 형질들임이 밝혀졌다. 종자의 형태와 종피의 형질은 종이상을 구별하는 매우 유용한 형질로 밝혀졌다. 따라서 한국산 쓴풀속 식물들에 대한 종 동정의 어려움을 해결하였으며, 속내의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하였다.

Morphological reinvestigation, external characters and discriminant functional analysis(44 qualitative characters) were examined on 6 taxa of Korean Ophelia, including 5 taxa distributed in south Korea, and one taxon considered to be the variation type of Ophelia wilfordi in order to clarify the limit of intersection and interspecies. And to establish the taxonomic position. One taxon distributed in north Korea was included in the description of species by observation of herbarium specimen of the University of Tokyo in Japan. The two sections were successfully distinguished by internal structure of ovary, morphology of nectary, number of corolla lobe and calyx lobe, and species were also distinguished by morphology of cauline leaf, and color and spot of corolla, respectively. The variation type of Ophelia wilfordi was not distinguished with other species except for absent or present of purple spot in corolla lobe.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l func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characters of corolla were the most important qualitative characters to distinguish the Ophelia taxa, and morphology of seed and seed coat was useful characters to distinguish taxa higher than species. Therefore the difficult problems of identification of species were successfully solved, and the taxonomic position in intrageneric level was clarified on Korean Ophelia.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