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사회 장애인 사례관리 협력모형 구축 방안 및 장애인복지관의 역할변화
A plan to establish a cooperation model for case-management for the disabled in community and the role change of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생활과학연구논총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4권 제3호
- : KCI등재후보
- 2020.12
- 125 - 140 (16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3차 장애등급제 시범사업 성과분석을 통해 장애인복지관 중심의 민관협력 사례관리 모형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8월 2차례의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 집단은 민관협력 사례관리 담당자(장애인복지관,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시군구 복지플래너 및 국민연금공단 복지코디)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GI 분석결과, 민관협력에 기초한 장애인 사례관리의 성과로서 새로운 자원 개발을 통한 장애인 삶의 질 향상, 신속한 서비스 제공 등이 도출되었다. 둘째, 향후 지역사회 장애인 사례관리 협력모형 개선 구축 방안으로 서비스 진입창구 단일화, 조직별 강점의 극대화, 장애인의 욕구 내용‧수준에 따른 서비스 제공 조직별 명확한 역할 및 기능 수립, 시군구 복지플래너 간 역량 차이 최소화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장애인복지관 중심의 지역사회 장애인 사례관리 협력모형으로 1단계 부분적 조직개편안, 2단계 전면적 조직개편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등급제 개편 이후 장애인복지관 중심의 사례관리 협력모형 구축을 위한 과제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plan to establish a case management model for public–private collaboration on the basis of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Third Disability Rating System Pilot Project. Two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project in August 2017. The participan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personnel in charge of case management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s, such as case managers from welfare support cente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lfare planners in local governments, and welfare coordinators of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The first key finding of the FGI was that public–private partnerships enabled the development of new welfare resources and quick responses for services, and such changes led to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Moreover, four key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operative case management mode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local communities have been identified: (1) unification of service desks,” (2) “maximization of strengths by welfare service organizations,” (3) “establishment of clear roles and functions for each organization based on the contents and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4) “minimization of capability differences among local welfare planner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two-stage advancement strategies for the cooperative case management mode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first stage was a partial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and the second stage was an overall organizational innovation. On the basis of our research findings, we discussed tasks to be completed to establish a case management cooperation model for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Ⅰ. 연구 목적 및 필요성
Ⅱ. 사례관리 개념 및 특징
Ⅲ. 지역사회 주요 사례관리 전달체계의 역할 및 기능
Ⅳ. 초점집단 인터뷰(FGI)
Ⅴ. 지역사회 장애인 사례관리 협력모형 구축 방안
Ⅵ. 장애인복지관 역할변화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