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개미취속(Aster) 및 근연의 17분류군을 대상으로 잎의 외부형태학적 형질 및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형질을 조사하여 이들의 분류학적 가치를 파악하였다. 잎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에서 엽형은 타원형, 주걱형, 피침형, 선형, 난상삼각형의 5유형으로 동일분류군내에서는 일정하였으며, 분류군간에는 몇가지 유형으로 뚜렷히 구분되었으므로 분류군의 식별형질로 유용하였다. 엽연의 거치는 전연, 예거치, 치아상거치, 결각상거치의 4유형으로 구분되었으나 일부 분류군들에서 개체간에 변이가 나타나므로 이들 식별형질로는 선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해부학적형질에서 표피세포의 크기와 형태, 기공의 크기와 단위면적당 분포수, 표면의 cuticle 침적양상은 분류군 간에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지 않으나, 기공의 표면존재여부, 기공의 크기, 단위면적당 기공의 분포수, 표피세포의 크기에 의해 일부 분류군들이 구분되었다. 모용은 형태와 모용표면의 무늬양상 및 구성세포의 배열 등에 의해 단열성 과립상 원추형, 단열성 평활상 원추형, 단열성 평활상 사상형, 구형, 2열성 낭상 두상형의 5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동일분류군내에서 다양한 생육환경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형태가 동일함으로 좋은 식별 형질로 판단되었다.
The leaf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s about 17 taxa of Aster and its allied taxa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taxonomic values. Leaf shapes of the treated taxa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elliptic, spathulate, lanceolate, linear, ovatodeltoid. These types were fixed in same taxa, but variable among different taxa, therefore useful as taxonomic character. Leaf margin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entire, serrate, dentate, incised, these types were invariable in most taxa, but variable among individual in same taxa such as Kalimeris incise, Aster spathulifolius. The size and shape of leaf epidermal cell, the size and distributional numbers per 10$\textrm{mm}^2$ 수식 이미지 of stomata, deposit feature of cuticle were not distinguished clearly from treated taxa, but presence of stomata on adaxial surface, size and distributional numbers per 10$\textrm{mm}^2$ 수식 이미지 of stomata were useful taxonomic characters in some taxa such as Gymnaster koraiensis,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Aster tripolium, Heteropappus arenarius. The leaf trichomes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by basic form, sculpturing on their outer surface and cell arrangement; uniseriate granulate conical type, uniseriate psilate conical type, uniseriate psilate filiform type, globular type, biseriate vesicular capitate type. In spite of various habitat, basic morphology of trichomes were not changed, therefore, it was thought to be good taxonomic charac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