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실험은 볍씨에 염화망간의 농도를 2500, 3500 및 4,500ppm을 처리하여 벼의 초기생육에 대한 생육반응, 엽록소 함량, 유리 proline 및 SOD활성변화를 자포니카형인 일품벼를 실험재료로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근장은 무처리보다 망간농도 4,500ppm에서는 0.3cm로 망간농도가 증가할수록 뿌리 생장이 억제되었다. 2. 발아율은 망간농도 3,500ppm에서 68%였으나 망간농도 4,500ppm에서 는 43%로 가장 낮았다. 3,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보다 고농도인 4,500ppm 에서 1.16mg으로 가장 낮았다. 4. 유리 proline 함량은 무처리에서는 발아 후 3일과 8일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발아 후 3일째 망간농도2,500ppm과 4,500ppm에서 각각 3,286μmole과 5,872μmole로 망간농도가 높아질수록 유리 proline 함량이 증가하였다. 5. SOD 활성은 발아 후 2일째 무처리가 762EU인 것에 비해 망간농도 4,500ppm에서는 1,693EU로 가장 높았다.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the changes of early growth and chemical components such as chlorophyll content,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y, free proline content on the different manganese chloride concentration(2,500, 3,500 and 4,500ppm) in rice seedling. Root growth was decreased in highest concentration, 4,500 ppm of Mn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germination rate was also decreased 43% at 4,500 ppm of Mn. Chlorophyll content was decreased at Mn 4,500ppm with 1.16mg. Free proline content at 3 day after germination in Mn 4,500ppm was highest relative to the other manganese chloride concentrations. SOD activity was gradually increased as manganese chlorid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an increment of free proline and SOD activity results from the higher manganese chloride concentration.
목차
등록된 목차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1)
- 염화망간 처리가 벼 유묘의 엽록소, 유리 Proline 및 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이앙시기에 따른 유색미 품종의 수량 및 성분 변화
- 당근의 체세포배로부터 발생한 경정부의 구조적 특성
- 지리산오갈피와 섬오갈피의 생육특성 및 자생지 식생조사
- 탱자(Poncirus trifoliata RAFIN.)의 기내 재분화 및 조직학적 특성
- 눈꽃동충하초 배지별 인공재배법과 성분분석에 관한연구
- 삼백초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 파종 전 GA3와 광질 처리, 발아온도에 따른 고추종자의 발아율
- 콩 잎에 서식하는 세균 및 콩나물 부패균의 밀도 변화
- 광조사 방향 및 광도에 따른 배양식물체의 생장특성
- 분얼형 옥수수 교잡종의 수량특성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