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원 초기 단편의 ‘환상성’ 연구 - 소외 극복의 방법으로서의 환상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ntastic Elements in Early-year Short Stories by Park Taewon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9권 4호
- : KCI등재
- 2020.12
- 5 - 37 (33 pages)
박태원의 초기 단편에서 주체는 ‘이상화된 자아상’을 설정하고 그와의 ‘동일시’를 통해 파편화된 자아의 모습을 재구성한다. 때로는 극도의 외로움과 고독 속에서 자신과 똑같은 처지에 놓인 위무자로서의 ‘분신’을 불러내어 현실에 대응하기도 한다. 분신이 소유한 특별한 ‘놀이’의 세계는 억압적인 현실을 전복하는 기능을 담지하고 있으며 은유적으로는 ‘글쓰기’를 의미한다. 한편 주체가 소외 상황을 타자를 향한 욕망을 통해 극복하려 할 경우, 이때 타자는 대부분 ‘여성’으로 제시된다. 욕망의 대상인 여성이 주체의 세계로 편입되지 않고 주체의 욕망에 응하지 않을 경우, 여성은 악마적 존재로 표상되는 경향을 보인다. 주체는 타자를 ‘악’으로 규정함으로써 자신의 세계를 확고히 구축하려 시도한다. 박태원의 초기 단편에서 ‘환상성’은 소외된 주체가 자신의 한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택한 하나의 전략이며 주체의 욕망에 의해 기획된 것들이다. ‘환상성’은 무엇보다도 박태원이 글쓰기를 통해 세계를 인식하는 하나의 방법론의 차원이자 언어를 통해 세계를 구성하는 시도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은 박태원의 초기 모더니즘적 경향과 후기 역사소설의 창작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arly-year short stories written by Park Taewon, the protagonists imagine an “idealized self” and reconstruct their fragmented self by identifying with their idealized self. At times of extreme loneliness and solitude, they summon their “alter ego” who is put in the same situation to act as a comfort to overcome their present reality. The special ‘amusement’ world held by these alter egos subverts the oppressive reality, and it can be seen as a metaphor for the act of writing. When the protagonists try to overcome their isolated state with a desire for others, in most cases, the object of this desire is women. When these women are not bought into the protagonists’ world and refuse to respond to their desire, they are seen as demonic. Moreover, the protagonists see others as evil in an attempt to establish their own worlds more firmly. In the author’s stories, fantastic elements work as a strategy for marginalized protagonists to overcome their critical situations and, as such, are conjured based on the protagonists’ desires. Above all, fantastic elements can be seen as one of the author’s ways of perceiving the world through writing, and they are important as they are tied to the author’s attempt to construct a world based on language. Moreover, such fantastic elements provide an important tool to broadly understand the works of Park Taewon, including both his early-year modernist novels and later historical novels.
Ⅰ. 서론
Ⅱ. 소외된 주체의 욕망으로 현현된 환상성
Ⅲ. 성적 욕망의 대상, 여성의 악마화
Ⅳ. 결론을 대신하여: 박태원의 환상소설의 유형과 앞으로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