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이색카페 형태와 트렌드
Types and Trends of Differentiated Cafes by Sematic Network Analysis Methods
- 한국식공간학회
- 식공간융합연구
- 식공간연구 15권 3호
- : KCI등재후보
- 2020.12
- 41 - 58 (18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 및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이색카페 형태와 현재 이색카페 트렌드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메가트렌드 기준을 바탕으로 2010년 1월 1일–2020년 9월 30일까지 포털 순위 1위인 네이버(Naver)에서 사회적 환경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기사 데이터만 텍스톰 4.5를 통해 수집하였다. 키워드 “이색카페”에 대해 수집된 데이터는 총 2,489개이었으며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빈도수가 높은 200개의 단어 중 분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121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 언어들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하여 중심성을 바탕으로 중요단어와 핵심단어를 추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핵심단어를 통해 이색카페는 복합공간으로 힐링형과 체험형의 콘셉트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2) 총 4개의 그룹이 생성되었으며 그룹 1의 추출단어는 41개로 중요단어는 총 11개이다. 그룹 2의 추출단어는 30개로 중요단어는 총 7개가 추출되었다. 그룹 3의 추출단어는 29개로 중요단어는 총 1개이며 그룹 4의 추출단어는 21개로 중요 단어는 총 7개가 추출되었다. 결과에 따른 이색카페는 소비자가 일상에서 벗어나 심리 및 육체적 안정을 위해 먹고, 마시고, 새로운 것을 경험하는 공간이며, 일상과 여유가 공존하길 원하는 니즈를 바탕으로 형성되어있었다. 현재 이색카페 소비자층은 과거에 비해 확대되고 있으므로 주요 타깃 고객층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에 맞는 이색카페를 힐링형 또는 체험형 콘셉트를 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ypes of the differentiated cafes and analyze their trends by collecting big data and using text-mining technique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news on Naver to help understand the social changes were collected through Textom 4.5 from January 1, 2010 to September 30, 2020. 2,489 data was collected and among 200 words with high frequency, 121 key words were extracted. For in-depth analysis, important words and key words were extracted based on centraliti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1) Differentiated cafes refer to a complex space which can be divided into a healing and experience type. (2) A total of four groups were created. The first group: 41 extractive words and 11 important words. The second group: 30 extractive words and 7 important words, the third group: 29 extractive words and 1 important word. The fourth group: 21 extractive words and 7 important words. The differentiated cafes were places where customers eat, drink and experience for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ability; moreover, it was formed based on the needs that daily life and relaxation should co-exist. Compared to the past, customer base visiting the differentiated cafes is getting bigg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se the target customers and decide on whether a healing or an experience type the cafe should be accordingly.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