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642.jpg
KCI등재 학술저널

개인수준의 기업가정신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 수준의 기업가정신 조절효과 검증

The Causal The effect of individual entrepreneu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the moder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entrepreneurship

DOI : 10.48206/kceba.2020.4.1.51
  • 265

국내외 기업가정신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실증연구는 개인수준의 기업가정신에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수준의 기업가정신과 조직수준의 기업가정신의 관계를 밝히는 동시에 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 같은 조직적응 요인들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2016년 GETR자료 중 한국의 50인 이상 피고용자 580명을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기업가정신은 직무만족에 정(+), 이직의사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이 관계에서 조직의 기업가정신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기업가정신을 보유한 구직자가 조직적응력이 떨어지고 이직가능성이 높다는 기존의 부정적 인식의 반대되는 결과를 제시하면서, 오히려 조직의 기업가정신과 상호작용하여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성과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창업 실패로 발생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인 비용과 리스크, 창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확산과 같은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terest and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at home and abroad are increasing explosively, but empirical research focuses on entrepreneurship at the individual lev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t the individual level and entrepreneurship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hile also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factor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of analysis of 580 workers who work in korean company from 2016 GETR. First, personal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in this relationship,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entrepreneurship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e opposite result of the existing negative perception that job seekers with high entrepreneurship have low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nd high turnover intention, but rather, the individual entrepreneurship can be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s that positively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will provide clues to alleviate problems such as economic and social opportunity costs that may arise from startup failure, and the spread of negative social perceptions about startup failur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1. 글로벌 기업가정신 트렌드

2.2. 개인의 기업가정신

2.3. 조직적응 :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2.4. 조직의 기업가정신과 직무적합성

Ⅲ. 연구방법

3.1. 연구대상과 자료분석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3.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IV. 연구결과

4.1. 타당성 및 신뢰성

4.2. 상관관계

4.3. 회귀분석 결과

Ⅴ. 결론

5.1. 연구결과의 요약

5.2. 시사점 및 제언

5.3. 한계점 및 향 후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