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642.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이 졸업 후 첫 직업에 대한 만족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The Causal Rel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Factors in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DOI : 10.48206/kceba.2020.4.1.23
  • 268

본 연구에서는 대학졸업자의 대학 재학 중 취업준비행동 유형을 분류하고 첫 직업에 대한 적성 흥미 및 대학전공 직무일치도의 관계와 대학 졸업 후 취업한 첫 직장에서의 고용안정성과 개인발전가능성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한국고용정보원의 ‘2017 대졸자취업진로조사(GOMS)’의 패널(코호트조사)자료로서 2016년 2월에 졸업한 모집단 520,547명이며, 대학 졸업 후 약 18개월 후에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활용하였다. 통계는 AMOS(21.0)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재학 중경험한 취업준비행동의 만족도는 적성흥미와 대학전공의 직무일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첫 직업에 대한 적성흥미직무일치도가 높으면 대학전공직무일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첫 직업에 대한 적성흥미직무일치도가 높으면 고용안정성과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첫 직업에 대한 대학전공직무일치도가 높으면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고용안정성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다섯째, 첫 직업에 대한 고용안정성 직무만족도는 개인발전가능성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첫 직업의 고용형태 유형으로 기한이 정함이 없는 계약과 정함이 있는 계약에 따라 경로계수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유의미한 x 2 차이를 나타낸 개념들 간의 경로계수 즉 대학재학 중 경험한 취업지원활동과 일자리 만족도 →적성흥미직무일치도 간의 관계, 적성흥미직무일치도 → 대학전공직무일치도, 고용안정성,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 간 관계, 대학전공직무일치도 → 고용안정성,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 간 관계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 panel data of 2017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hich is a population of 520,547 who graduated in February 2016. The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about 18 months after university graduation Respectively. Statistics were verified using AMOS (21.0).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atisfaction during colleg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ptitude and interest fit, university major fit. Second, a high degree of fit on aptitude interest in the first job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major fit. Third, high level of fit on aptitude interest in the first job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tability and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 satisfaction in the job satisfac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fit of university major for first job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 satisfaction. Fifth, employment stability satisfaction for the first job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 satisfaction. Finally, according to whether the time limit of the contract term is fixed or not in the employment type of the first job, the differences in the path coefficients were conformed statistically significan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1. 취업준비행동

2-2. 적성흥미 및 대학적성의 직무일치도

2-3. 고용안정성 및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3-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3. 표본의 특성

IV. 실증분석의 결과

4-1. 타당성 및 신뢰성

4-2. 실정적 분석

4-3. 고용형태별 집단 간 차이분석 결과

Ⅴ. 결론

5-1. 연구결과의 요약

5-2. 시사점 및 제언

5-3.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