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643.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 교육대학교에서의 비대면 교수경험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n the Online Teaching Experiences of Teacher Educators

  • 143

이 글의 목적은 자문화기술지로 교육대학교 교사교육자들의 비대면 교수경험을 내부자의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비대면 교사교육의 특징과 교육적 가능성을 조명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출발 단계: 대면 강의 상황에서 해 왔던 방식을 포기하고 비대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강의 동영상을 제작하였다. 도약 단계: 강의 동영상 제작에서 힘든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노력을 하였고 작은 성과도 맛보았다. 이런 성과는 학습자들이 나의 강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해 주고 개선할 점을 나에게 알려 주었기에 가능하였고, 동료 교수와의 소통도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위기 단계: 내가 생각하는 동영상 강의 방식의 장점이 학생들에게는 잘 적용되지 않고 있었음을 발견하였고, 학생들의 반응에 대해 내가 미처 파악하지 못 한 점이 있음을 깨닫고 새로운 방안을 찾을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고도화 단계: 상황에 맞는 강의 방식을 적용하였고, 학생들의 학습 과정과 결과에 대해 적극적으로 피드백하였으며, 내가 선호하는 설명 방식을 구현하여 강의 영상를 제작하여 내 강의를 고도화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교육자들에게 교수 및 학습 전략을 제공하고, 교사교육에 대한 경험적·이론적 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non-face-to-face teacher education by shedding light on the non-face-to-face teaching experience of teachers and educators at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siders. A brief presentation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Departure phase: I gave up the method I had done in face-to-face lecture situations and created lecture videos in search of an applicable way in non-face-to-face situations. Leap phase : I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making lecture videos and gathered small achievements. This achievement was possible thanks to positive response of learners to my lecture and showed me what to improve, and communication with my fellow professors played an important role. Crisis phase: I found that the advantages of lecture videos I had recognized did not work well with students, and realized that there was something I had not figured out yet about the students’ responses. I also realized the need to find a new way. Advancement phase : I applied a teaching method suitable for the current learning situation, gave active feedback on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results, and upgraded my lecture by deploying a method of explanation I prefer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eacher educators and contribute as empirical and theoretical data on teacher education.

I. 들어가며

II.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강의 고도화를 위한 여정

V. 나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