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아버지가 살해당한 성인여성의 삶의 이야기를 내러티브 탐구방법, 특히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3차원 내러티브 공간 탐구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는 연구참여자와 일대일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수집했으며,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타의에 의해 하늘이 무너지자, 자신도 무너져 내림’, ‘대들보가 없어진 자리에 서까래로서의 고통’, ‘소공녀에서 천덕꾸러기 신데렐라로 추락’, ‘보호와 구속의 이중구조 집성촌(集姓村)’, ‘문중(門中)의 자녀로서 전통적 가치관의 학습’, ‘현대판 열녀를 만들기 위한 남성들의 접근 차단과 어머니에 대한 양가감정’, ‘고통의 보편성을 깨달은 가람(伽藍)’, ‘삶의 보상으로써 남편과 시선의 권력에 노출된 층층시하의 시집살이’, ‘가족의 그늘이 된 나무가 고목으로 퇴색되어감’, ‘꽉 조인 삶의 나사 풀기’, ‘폐허의 복원’이라는 11개의 의미주제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건강한 애도, 자기만의 애도 의례 구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life of an adult woman who experienced murder of her farther in adolescence, using a three-dimensional space narrative inquiry framework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 According to the data, 11 subjects were identified: ‘her own self collapses as the sky falls ’, ‘having pain as a rafter to substitute where the beam is gone’, ‘falling from a little princess to an outcast like Cinderella’, ‘Jipseongchon as a dual structure of protection and restraint’, ‘learning traditional values as a child of the family’, ‘blocking other men’s access to mother and ambivalent feelings towards mother’, ‘realizing the universality of pain’, ‘having a husband as a reward for life and marriage life exposed to the power of gaze’, ‘the tree fading from a family shelter into an old tree’, ‘unscrewing a tight life’ and ‘restoring a destroyed house’.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 was made on healthy mourning and constructing morning ritual of one’s own.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
III. 연구방법 및 절차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