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에서 재배되는 12종의 마늘을 수집하여 인편과 캘러스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함량을 측정하여 재배종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아르기닌과 아스파라긴은 인편과 캘러스에 함유된 총 아미노산 함량의 78%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글루탐산, 라이신, 아스파르트산, 발린, 글리신, 히스티딘 및 오르니틴 순으로 많았다. 12개의 재배종 마늘의 인편의 아미노산 구성으로 볼 때 마늘 재배종은 3개의 주요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그룹에는 단양종, 의성종, 서산종, 제주종, 몽골종 및 터키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두 번째 그룹에는 남도종, 중국종, 맥시코종, 네팔종이 포함되어 있고, 세 번째 그룹에는 필리핀종과 대서종이 포함되어 있다. 캘러스의 아미노산 구성으로 볼 때, 첫 번째 그룹에는 몽골종, 의성종, 단양종 및 서산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두 번째 그룹에는 제주종, 대서종, 중국종 및 남도종이 포함되어 있고, 세 번째 그룹에는 네팔종, 맥시코종, 필리핀 및 터키종 종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는 마늘의 인편과 캘러스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조성은 한지형 재배마늘을 구분하는데 뚜렷한 기준을 제시해 주었다. 특히 캘러스에 함유된 아미노산함량 조성은 인편에 함량조성보다 한지형과 난지형을 구분하는데 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 주었다.
Correlation and similarity of garlic cultivars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composition of twenty amino acids contents in the bulb and callus from twelve garlic cultivars which were collected from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rginine and asparagine occupied more than 78% of total amino acids both in bulb and callus followed by glutamic acid, lysine, aspartic acid, valine, glycine, histidine and ornithine in order. Based on correlation coefficients of amino acid composition in the bulb, twelve garlic cultiva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groups. Danyang, Euiseong, Seosan, Jeju, Mongol and Turkey cultivars belong to group-I, Namdo, China, Mexico and Nepal cultivars are in group-II, and group-III includes Philippine and Daeseo cultivars. Based on amino acid composition in callus, group-I includes Mongol, Euiseong, Danyang and Seosan cultivars, group-II includes Jeju, Daeseo, China and Namdo cultivars, group-III includes Napal, Mexico, Philippine and Turkey cultivars. Composition of amino acid contained in both callus and bulb is a clear standard to identify northern-type garlic cultivars. Especially the composition of amino acids in callus is more distinctive standard of classification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type garlic cultivars than that in bulbs.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사 사
적 요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