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843.jpg
KCI등재 학술저널

잣나무 정유의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 평가

Evaluations on Deodorization Effect and Anti-oral 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Pinus koraiensis

DOI : 10.7732/kjpr.2014.27.1.001
  • 52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정유를 대상으로 GC-MS 를 이용한 성분분석, 악취물질에 대한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잣나무 정유를 GC-MS 를 이용하여 정성분석한 결과 α- pinene 이 19.38% 로 가장 높은 구성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3-carene (11.16%), camphene (10.57%), limonene (9.79%) 등의 terpene hydrocarbon 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들 특유의 향취 조합으로 인해 잣나무 정유 고유의 향취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악취물질 4 종에 대한 소취력 평가에서는 잣나무 정유를 주입한 1 시간 후 75.17% 의 ammonia 소취능을 나타내어 4 종의 정유중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Formaldehyde 에 대한 소취력 평가에서는 편백나무와 소나무 정유가 61.67% 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잣나무 정유는 23.33% 를 나타내었다. Trimethylamine 에 대해서는 정유 주입 10 분 후 편백나무, 전나무, 소나무 정유가 평균 6.70% 로 낮은 활성을 나타낸 반면, 잣나무 정유를 주입함으로서 41.58% 의 매우 높은 소취력을 나타내었다. Methylmercaptan 에 대해서는 정유 주입 1 시간 후 소나무(82.22%), 잣나무 (70.56%), 전나무 (62.22%), 편백나무 (59.44%) 정유 순으로 소취력을 나타냈다. 구강균에 대한 정유 별 항균력 평가에서는 잣나무 정유 (2.90 ± 0.15 ㎜ ) 는 L.paracasei 에 대하여 전나무 (1.83 ± 0.18 ㎜ ) 와소나무 (1.54 ± 0.09 ㎜ ) 정유보다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S. aureus 에 대한 잣나무 정유 (2.86 ± 0.08 ㎜ ) 의 항균활성 또한 전나무 (1.15 ± 0.20 ㎜ ) 와 소나무 (1.85 ± 0.08 ㎜ ) 정유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S. sobrinus 에 대한 항균활성은 편백나무(1.42 ± 0.01 ㎜ ) 와 잣나무 (1.40 ± 0.01 ㎜ ) 정유를 처리함으로써 강하게 나타났으며 S. mutans 에 대한 항균력은 편백나무 > 전나무 > 잣나무 > 소나무 정유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E. faecalis 에 대해서는 소나무 (0.79 ± 0.05 ㎜ ) 정유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천연물 유래 잣나무 정유는 악취물질에 대한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활용한 구강탈취제, 구강청결제 등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Essential oils of various plants have been known for potential biological effects such as antibacterial, antifungal, spasmolytic, antiplasmodial activities and insect-repellent property. Recently, the essential oil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interest in oral disease therapy. This essential oil has been known as being effective on easing sick house syndrome, giving forest aroma therapy effect and acting as repellent against pest. The essential oil of Pinus koraiensi, a native plant from Hongcheon-gun, Gangwon-do, was obtained by hydrodistillation. In light of its medicinal importance, in this study its composition,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 reducing effect of offensive odor have been analyzed. The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was determined by GC and GC–MS. We have identified 14 compounds, of which 1R- α -pinene (19.38 %), 3-carene (10.21 %), camphene (9.82 %), limonene (9.00 %), bicyclo[2,2,1] heptan-2-ol (8.76 %) and β-phellandrene (7.98 %) were the main components. Essential oils from P. koraiensis, Chamaecyparis obtusa, Abies holophylla and Pinus densiflora were compared in terms of alleviating effect of malodors caused from formaldehyde, ammonia, trimethylamine and methylmercaptan. P. koraiensis essential oil was found to decrease the amounts of ammonia and trimethylamine by 75.17 % and 77.36 %, respectively.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which were known as oral cavity inducer, was investigated using the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 The inhibition zone was observed against S. mutans (5.97 ㎜) and S. sobrinus (1.40 ㎜), respectively. P. koraiensis essential oil shown effective deodorization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oral cavity in this study might be potential material in oral sanitary industry.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