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잣나무의 구과 착과량에 따른 구과 및 종자특성의 변화 양상을 구명함으로써 잣나무 채종원의 효율적관리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7년충주 소재 잣나무 채종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전체조사목 중 96.3%가 착과되었으며 본 당 구과수는 평균27.4개였다. 본 당 구과 착과수에 따라 8개의 계급으로 나누어 분석을 했는데, 구과 착과수가 많아질수록 구과길이,구과폭, 구과무게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과착과수가 많아질수록 임성인편수, 종자생산능력, 충실종자율, 종자무게, 종자효율은 감소하고 둘째해 고사배주율은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종자결실이 풍년으로 구과가 다량 착과되는 해에는 평년에 비해 종자의 균일성 및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특히, 잣나무는 구과와 종자의 크기가 크고 무거울수록 포지와 조림지에서의 생장이 좋다는 보고가 있는 점을감안할 때, 결실 풍년으로 인해 종자의 평균적인 크기와 무게가 감소되는 경우 향후 조림지에서의 유묘생장도 저조할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결실이 풍년인 해에는 착과량을 인위적으로 적정수준으로 조절하거나 종자 정선 시 평년 수준의 종자크기 또는 무게를가진 것들을 선별하여 공급하는 방안 등 다각적인 대처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e abundance and cone/seed characteristics toimprove seed quality and seed orchard management of Pinus koraien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P. koraiensis seedorchards at Chungju in 2007. That year was a rich year of cone harvest and the average number of cone per tree was 2.5 timesmuch than that of normal year. We collected the cones from all trees in the sample plot of the seed orchard and investigated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cone length, cone width and cone weight. According to cone abundance per tree, thesamples were divided into eight classes and analysed by cone analysis method. There is a decreasing tendency of number offertile scale, seed potential, percent of filled seeds, seed weight per cone and seed efficiency, when the cone number per treeis increased. Additio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to seed orchards management of P. koraiensis were discussed.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인용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