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854.jpg
KCI등재 학술저널

연복초(Adoxa moschatellina L.)의 분포와 자생지 입지환경

강원도를 중심으로

강원도 연복초 자생지 입지환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포지를 밝히고 9개 지역의 22 지점을 대상으로 환경요인,식생 및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복초는 강원도 동해시,속초시, 고성군과 양구군을 제외한 14개 시군의 총 44개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생지는 해발 99-1,084 m의 범위에 위치하였으며, 경사는 0-25°로 비교적완만하였다. 식생조사 결과 방형구 내에 출현한 관속식물은총 215분류군이었다. 초본층의 중요치는 연복초가 32.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벌깨덩굴(7.5%), 미나리냉이(5.1%), 미치광이풀(3.8%), 현호색(3.3%) 등의 순으로 나타나 이 종류들이 연복초와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식생의 양적지수를 산출한 결과 종다양도는 0.4870-0.9848,균등도와 우점도는 각각 0.4525-0.7601 과 0.1335-0.4191의 범위로 나타났다. 각 방형구내에 조사된 종류들의 중요치에 기초한 군집분석 결과에서는 우점종의 상이성에 의해유집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 분석결과 포장용수량, pH 그리고 유기물함량은 각각 4.29-38.45%, 4.61-5.98,2.44-20.21%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atural habitat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vegetation and soil analysis at 22 different sites of 9 reg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doxa moschatellina in Prov. Gangwon-do. Natural habitats are confirmed at 44 regions of 14 cities and counties except for Donghae-si, Sokcho-si, Gosung-gun and Yanggu-gun in Prov. Gangwon-do. Natural habitats were located at altitudes of 99-1,084 m with slope inclinations of 0-25°. A total of 215 vascular plant taxa are identified from 22 quadrates. Importance value for members of the herbaceous (H) layer were as follows: Adoxa moschatellina 32.8%; Meehania urticifolia 7.5%;Cardamine leucantha 5.1%; Scopolia japonica 3.8%; Corydalis remota 3.3%. The importance value of the last four species are high, so they are at affinity with Adoxa moschatellina in their habitats. Species diversity of investigated sites ranged 0.4870-0.9848, and that of evenness and dominance are 0.4525-0.7601 and 0.1335-0.4191, respectively. Cluster analysis based on importance value appeared the high relations with differences of dominance species. Field capacity of investigated sites ranged 4.29-38.45%, and the soil pH and organic matter were 4.61-5.98 and 2.44-20.21, respectively.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인용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