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외식종사원 고용환경변화가 직무불안정성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을 조절효과로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hange in Employment on Food Service Employees on Job Instability and Job Str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 180
154885.jpg

본 연구는 외식 종사원의 고용환경변화가 직무불안정성 및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설문 조사는 2019년 08월 26일부터 09월 09일까지 2주간 시행하였으며 설문 대상은 서울·수도권 외식 프랜차이즈 종사원을 대상으로 총 242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최종적인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 종사원의 고용환경변화와 직무상실 가능성의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는 정리해고보편화(β= .352, P<001), 조직구조의 변화(β=.523, P<.001)로 종속변수인 직무불안정성에 대하여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임을 알 수 있었으며. 둘째, 외식 종사원의 고용환경변화와 무력감의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는 정리해고보편화(β= .650, P<001), 조직구조의 변화(β=.099, P<.05)로 종속변수인 직무불안정성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에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 종사원의 직무불안정성을 직무상실 가능성, 무력감 이상 2가지를 하위 변수로 설정하고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은 직무상실가능성(β= .721, P<001), 무력감(β= 613, P<.001)은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임을 알수 있었다. 넷째, 자아탄력성이 외식 종사원 직무불안정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에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 결과 무력감*자아탄력성은(β= 059, P<.05) 직무스트레스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Environmental Change in Employment affects job instability and job stress. In addition, we conducted a study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addition, we conducted a study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rom August 26, 2019 to September 09, 2019, and a total of 242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for employees in the Seoul and metropolitan restaur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environmental change in Employment and job loss possibility of restaurant workers are summarized as generalization of layoffs (β = .352, P <001) and changes in organizational structure (β =.523, P <.0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instability. Second,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Change in Employment of restaurant employees are summarized as job dependents as generalization of layoffs (β =.650, P <001) and changes in organizational structure (β = .099, P <.0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stability. Third, the job instability of the food service employee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with the possibility of job loss (β = .721, P<001) and helplessness (β = 613, P <.001). A relationship was found. Fourth,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elasticity has a moderating effect on job stress (β = 059, P <.05).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