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中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서 백하수오(白何首烏) 재배시(栽培時) 적정(適正) 재식밀도(栽植密度)를 구명(究明)하고자 충북(忠北) 지방(地方)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10a당(當) 시비(施肥)는 웅비(施肥) 1,000kg, N-P-K=8-4-4kg을 전량(全量)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였다. 처리(處理)는 휴폭(畦幅)을 주구(주구)로, 주간(株間)을 세구(細區)로 하여, 휴폭(畦幅)은 40, 50, 60cm, 주간(株間)은 10, 15, 20cm로 하여 분류구배치(分劉區配置) 3반복(反復)으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出現期)는 5월(月) 25일(日)로 처리간(處理間)에 차이가 없이 균일(均一)하였다. 2. 위장(萎長)은 휴폭간(畦幅間)에서 40cm는 219cm, 50cm는 220cm, 60cm는 225cm 였으나, 주간(株間)에는 10cm에서 225cm, 15cm는 219cm, 20cm는 218cm로 주간(株間)이 좁을수록 길었으며, 엽수(葉數)는 양장(養長)과 같은 경향(傾向)으로, 주간(株間)이 좁으면 엽수(葉數)는 증가(增加)되었다. 3. 근장(根長)은 휴폭(畦幅) 40cm에서 24.5cm, 50cm는 24.6cm, 60cm는 24.2cm로 큰 차이가 없으나, 주간(株間) 10cm에서 23.5cm, 24.4cm, 20cm는 24.9cm로, 주간(株間)이 넓을수록 $0.9\sim1.4cm$ 수식 이미지가 길었으며, 근수(根數)는 $1.2\siml.4$ 수식 이미지 개(個)로 처리간(處理間)에 큰 차이가 없는 경향(傾向)이었다. 4, 10a당(當) 수양(收量)은 휴폭(畦幅) 40cm의 395kg/10a에 비(比)하여 50cm는 11%, 60cm는 4%가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었으나, 주간(株間) 10cm의 495kg/10a에 비(比)하여, 15cm는 17%, 20cm는 32%가 각각(各各) 감수(減收)되어, 중부(中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서 백하수오(白何首烏) 재배시(栽培時) 재식밀도(栽植密度)는 휴폭(畦幅) 50cm, 주간(株間) l0cm로 재배(栽培)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row width and hill space on growth and yield in cynanchum wilfordii on experimental fields of chungbuk Provinci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mergence date was May 25 and had no differences between planting density. Vine length was 219cm with row 40cm, 220cm, with 50cm and 225cm with 60cm, and in hill spaces, it was 225cm with hill space 10cm, 219cm with 15cm, and 218cm with 20cm. No. of leaves was same tendencies to vine length and was more increased as the hill space was narrower. Root length was longer about 0.9cm to 1.4cm as the hill space was wider, and no. of root had no difference between planting tensity. Yield was more increased row width was wider and was decreased hill space was wider. And the profitalble planting density was row width 50cm and hill space 10cm in the cultivation cynanchum wilford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