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고대 한반도의 목간문화 변용과 다면목간의 ‘편철’

Binding of the Multi-sided Wooden Documents and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as a Contact Zone

  • 103

漢代까지 중국 書寫文化의 한 축을 이루었던 것은 竹簡을 엮어 冊書로 만드는 방식이었다. 목간의 경우에도 이러한 編綴文化와 동떨어져 있던 것은 아니다. 목간을 編綴하여 冊書를 만든 사례들 또한 있다. 본고에서는 개별 목간이 나름의 정보를 담고 있으면서도 상호 편철을 의도하여 제작 된 사례로서 居延漢簡 MD14에 주목하여, 286.1 목간을 기준으로 상호 列 을 맞추어 기록된 표(table)을 복원해 보았다. 개별 목간 外의 다른 것을 의식한 열 맞춤은 한반도 출토 목간의 ‘編綴’ 가능성을 확인할 단서가 된다. 경주 월성해자 출토 목간 2호는 모든 면의 윗부분에 비슷한 정도의 공백을 두고 있다. 함안 성산산성 출토 가야1602 목간은내용이확인되는두면모두상단에같은양의상당한공백을두고 서사를 시작하고 있는데, 열 맞춤의 기준은 해당 목간 밖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구체적 정보를 담은 다른 목간들과 함께 묶일 集計簡으로 만들어졌 다고 생각된다. 多面木簡은 각 면을 돌려가며 읽도록 의도된 것으로서, 위·아래를 묶는 방식으로 편철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문서의 필수 정보 일부가 생략되 어 있어 標題 목간이나 다른 목간들과 함께 묶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함안 성산산성 출토 가야2645 목간은 하단부에 묶기 위한 절입부가 만들어져 있다. 가야1602 또한 파손된 상단부가 원래 절입부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들 다면목간은 한쪽 끝부분만 묶는 방식으로 ‘편철’되었다고 추정된다. 이 같은 사례는 ‘한국 고대’의 목간문화 수용 과정에서 ‘편철간문화’를 배제했을 것이라는 가정이나, 다면목간은 단독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만 보아 온 기존의 이해를 벗어나는 것이다. 다면목간의 ‘編綴’ 사용은 접 경공간으로서 고대 한반도에서 발생한 문화 교류와 변용의 한 사례로서 주목된다.

Until the Han Dynasty, weaving bamboo slips into books formed an axis of Chinese writing culture. Even in the case of wooden documents, there were cases where several strips were tied together by strings. As an example in which individual strips contained their own information and were intended to be tied together, MD14 of Han wooden slips from Juyan district are noted. They were identified as part of a single table written in columns with each other based on wooden slip 286.1. The way of writing in columns with other than individual wooden strips was also found in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but some acculturation has been made. Wooden document No.2 excavated from the moat of Wolseong palace in Gyeongju has similar margins at the top of all four sides. Four-sided wooden doucument Gaya1602 from the Seong- sansanseong Fortress in Haman also has the same large space at the top of two sides where the letters remain well. The lines that were conscious of when writing must be found outside the document. Gaya1602 would have been made with the intention of being tied together as a sum of several wooden documents containing individual information. However, a multi-sided wooden document is intended to be read on each side while rotating, and cannot be secured by stringing top and bottom. Gaya2645, which is also thought to be tied together with other wooden documents, has a groove for string only at the bottom. The broken upper end of Gaya1602 could be originally a groove to tie the string too. It is assumed that these multi-sided wooden documents were linked by binding only one end. These cases contradict the assumption that the method of binding wooden documents would not have flowed into ancient Korea. The existing hypothesis that the multi-sided wooden document would have been used alone also rejected. The binding of the multi-sided wooden documents is an example of cultural exchange and transformation that took place on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which was a Contact Zone.

Ⅰ. 머리말

Ⅱ. 漢代 목간의 편철과 열 맞춤

Ⅲ. 한반도 출토 다면목간의 ‘편철’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