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린초 자생지 네 곳(광덕산, 사명산, 용화산, 통영지역)의 집단에 대하여 이들의 종내 유연관계를 알아보고 야생화의 원예화 또는 품종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생지별 식생조사 및 외부형태 형질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50개의 형태 형질을 이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 주성분 1, 2, 3은 전체 변이에 대하여 각각 22.9%, 14.2%, 7.4%를 설명 하였으며, 주성분1에 대한 주성분2의 도시 결과 4개의 자생지 집단은 서로 중복되어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형태적 형질에 대한 주성분 분석은 여러 자생지들의 집단 간에 모든 외부 형태적 형질들이 연속적 양상을 나타냄을 보여주었고, 편차가 가장 큰 형질은 잎의 크기와 형태에 관여되는 형질들이었다. 식생은자생지에서 18개의 조사구를 선정하여 식생군락을 조사한 결과 좀깨잎나무하위군락, 넓은잎외잎쑥하위군락, 맑은대쑥하위군락, 노랑물봉선하위군락, 까치고들빼기하위군락, 쐐기풀하위군락, 더위지기하위군락, 닭의장풀하위군락, 개망초-쑥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의 10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To address infra-specific relationships of Sedum kamtschaticum Fisch.,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veloping new horticultural variations, we analyzed the morphology of individuals in four natural populations (Mt. Gwangdeok, Mt. Samyeong, Mt. Yonghwa, Tongyeong) and investigated the vegetations of these area. Based on 50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has been performed. Principle component axis 1, 2, and 3 explain 22.9%, 14.2%, and 7.4% of total variations, respectively. Dot plot of OTUs in PC2 by PC1 area showed that the areas of four populations are completely overlapped. The result of PCA and the statistics of each character indicate that all of morphological characters are overlapped in these four populations. The maximum deviations are found in the characters related in the size and shape of the leaf. In the vegetation analyses, eighteen community plots that we investigated were grouped into 10 subcommunities: subcomm. Boehmeria spicata, subcomm. Artemisia stolonifera, subcomm. Artemisia keiskeana, subcomm. Impatiens nolitangere, subcomm. 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subcomm. Urtica thunbergiana, subcomm. Artemisia gmelini, subcomm. Commelina communis, subcomm. Erigeron annuus-Artemisia princeps, and typical subcommunity.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인용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