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647.jpg
KCI등재 학술저널

화재조사현장 호흡가스 유해물질 분석 기초연구

Hazardous Gas Analysis during Fire Investigation

DOI : 10.7731/KIFSE.26c6d4ab
  • 97

화재현장에서는 많은 유해물질들이 생성되어 배출된다. 실제화재현장에서 화재진압대원들은 공기호흡기를 착용하지만 그 이외의 임무(화재조사, 현장지휘 등)로 활동하는 현장대원들은 공기호흡기를 착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므로현장에서 다양한 유해물질에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흡보호가 상대적으로 힘든 화재조사현장에한하여 유해가스 7종을 다중가스검출기를 사용하여 측정·분석하였다. 현직 화재조사관 6명의 도움을 받아 실제 51곳의 조사현장에서 직접 유해가스 농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아울러 3 곳의 재현실험 현장에서도 시간에 따른 유해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화재조사현장에서 측정한 유해가스 농도의 최대값이 허용한계치(Threshold limit value,TLV) 중 단시간노출한계(Short-term exposure limits, STEL)를 초과한 건수는 SO2는 8건, HCHO는 29건, NO2는 1건,HCN은 13건, CO는 2건이었다. 재현실험의 경우는 화재진화 후 1 h 30 min이 경과 되면 대부분의 유해가스 최고농도는STEL기준 이하가 되었다. 따라서 화재조사관의 경우 이에 맞는 호흡보호구를 착용하고 그에 대한 관리가 요구된다.

Various types of hazardous substances are generated at fire scenes. Firefighters usually use the self-contained breathingapparatus (SCBA) during firefighting; however, SCBA is very inconvenient to use in other works (e.g., fire investigation andfire scene commands). Therefore, firefighters can be exposed to numerous chemicals. In this study, concentrations ofhazardous gases were measured by utilizing gas analyzers with seven sensors during fire investigations. Six fire investigators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hazardous gases directly as they worked. This included capturing the maximum concentrationsof SO2 at seven places, HCHO at 29 places, NO2 at one place, HCN at 13 places, and CO at two places where theconcentration exceeded the short-term exposure limit (STEL). When reconstruc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maximum allowable concentrations for most hazardous chemicals fell below the STEL approximately 90 min after the fireoccurrence. Therefore, we determined that fire investigators should wear proper res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when working.

1. 서 론

2. 연구범위 및 측정방법

3. 결 과

4. 고 찰

5. 결 론

후 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