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에 접어들면서 지역아동센터에 다문화가정 이용아동수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지역아동센터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의 다문화수용성 제고가 중요하다고 여기며,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다문화수용성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또한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이 있는지 통계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다문화 수용성은 52.4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문화가정아동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지의 여부와 외국여행경험여부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한다. 첫째,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들은 다문화아동들의 지역아동센터 이용을 확대하거나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 필요가 있다. 다문화아동과의 접촉을 통해서 다문화수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사회와 다문화아동을 이해할 수 있는 다문화사회전문가를 교육하고 양성할 필요가 있다. 훈련받는 다문화사회전문가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일상생활지도의 부분이나 학습의 부분, 한국어 교육, 학교생활 적응 등과 관련한 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다문화가정의 아동들의 학교와 지역사회 적응을 도울 것이다.
As we enter a multicultural society, the number of children and multicultural families going to the local children s centers are increasing. It is important to enhanc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social workers at local children s centers, and we looked at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local children s centers through statistics and what factors affec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a result,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local children s centers was 52.4 points, 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ere whethe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used and whether they had foreign travel experience at the local children s cent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are made: First, social workers at the local children s centers need to expand the usage of the local children s centers or create various programs for multicultural childre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rough contacts with multicultural children. Seco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train multicultural social experts who can understand multicultural societies and multicultural children. The trained multicultural social experts will help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dapt to schools and communities by providing support services related to parts of daily life guidance or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at local children s centers.
Ⅰ. 서론
Ⅱ.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및 분석결과
Ⅳ. 연구결과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