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755.jpg
학술저널

자생해외봉사를 경험한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Occupational Identity of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Who have Experienced Self-sustaining Overseas Volunteerism

  • 134

본 연구에서는 자생해외봉사를 경험한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해 탐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사회복지전공생 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 후 질적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자생해외봉사를 경험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래사회복지 현장에 투입될 사회복지 전공생들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을 위한 적극적인 해외봉사활동의 실천현장의 경험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자생해외봉사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범주와 10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5개의 범주는 ‘사회복지사의 눈을 뜸’, ‘직업정체성을 찾아가는 여정’, ‘클라이언트는 사회복지사의 존재 이유’, ‘사회복지사로서의 직업정체성 형성’, ‘자신이 희망하는 미래의 사회복지의 모습을 발견’이다. 본 연구에서 자생해외봉사단의 경험에 대한 부분이 미래의 사회복지사를 꿈꾸고 있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에게 자신의 사회복지사 직업정체성을 발견하고 미래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vocational identity of a student of social welfare who experienced self-sustaining overseas volunteerism. Six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aise the need for active self-sustaining service by reviewing the vocational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social workers who have experienced overseas volunteer groups and vocational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n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self-sustaining overseas volunteer participants resulted in a total of five categories and 10 topics. The five categories are Taking a Social Welfare Worker s Eye, A Journey to Job Identity, Client s Cause of Social Welfare, Formation of Job Identity as a Social Welfare Worker, and Found the Future Social Welfare of Your Hope. I hope that part of this study will help social welfare college students who are dreaming of becoming social welfare workers in the future and prepare for the future.

Ⅰ. 서론

Ⅱ.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