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산성비가 소나무, 리기다 소나무, 잣나무 잎의 동위효소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H 5.6을 대조구로 pH 3.5의 인공 산성비를 9개월간 처리하여 α-Est, POD, GDH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pH 3.5의 인공산성비 처리 9개월째에 α-Est에 있어서 소나무는 동위효소의 활성에 별 변화가 없었으나, 리기다 소나무는 2개의 새로운 동위효소가 활성화되었으며, 잣나무는 2개의 새로운 동위효소가 활성화되고 5개의 동위효소는 활성이 보여지지 않았다. POD에 있어서도 소나무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리기다 소나무는 8개의 동위효소가 새로이 활성화되었으며, 잣나무는 4개의 동위효소의 활성이 보여지지 않았다. GDH 역시 소나무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리기다 소나무는 2개의 새로운 동위효소가 활성화 되었고, 잣나무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The effect of acid rain on plant isozyme response was studied with the treatment of simulated acid rain to Pinus densiflora, P. nigida and P. koraiensis for 9 months. The isozyme pattern of α-Esterase(α-Est), Peroxidase(POD) and Glutamate dehydrogenase(GDH)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pH 5.6) and simulated acid rain (pH 3.5) treatment. No changes of isozyme pattern in α-Est was observed in P. densiflora after 9 month treatment of simulated acid rain, but, two new isozymes were activated in P. nigida in the same treatment. In P. koraiensis, two new isozyme were activated but five isozymes were not activated. P. densiflora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POD and GDH after the treatment of simulated acid rain. P. nigida showed activation of eight and two isozymes in POD and GDH, respectively. P. koraiensis showed inactivation of 4 isozymes in POD but showed no changes In GDH.
목차
등록된 목차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1)
- 옥미수의 분획이 알코올 및 알콜대사효소에 미치는 효과
- 남부지방 서식식물의 유용물질 탐색 I. 지질 및 탄화수소
- 시비수준이 땅두릅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산자낭균류기 (V)
- 지모, 일황련 및 황백나무 추출액의 항균활성
- 온도 및 光條件이 더덕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구약감자 수집종의 생리생태적 특성
- 춘천지역의 참취 및 삼지구엽초의 자생지 식생 및 환경특성
- 곰취의 양액재배 기술 개발 I. 배지종류 , 배지량 , 재식밀도에 따른 곰취의 생육 및 수량
- 벼의 품종별 이앙시기가 미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I. 출수 및 수량관련형질의 변화
- 고추냉이 물재배시 묘크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Uniconazol 및 Paclobutrazol의 葉面散布 처리가 더덕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산 개미취속 및 근연 분류군의 체세포염색체수에 관한 연구
- 강원도의 약용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
- 남부지방 서식식물의 유용물질 탐색 II. Saponins과 Alkaloids
- 紫蔬의 채엽시기별 주요 정유성분 함량변화
- Expression of Low Temperature Regulated Gene H28 in Solanum tuberosum L.
- 수종의 작물에 대한 세포독성효과
- 인공 산성비가 소나무속의 동위효소 양상에 미치는 영향
- 냉이에 발생하는 진균성 병해
- 미역취의 육묘일수가 추대반응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