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오월드는 2002년 5월 개장하였다. 2019년도에 발생한 코로나19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개장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대전 오월드의 콘텐츠의 활용면에서 비대면 방식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언택트(Untact)방식의 비대면 콘텐츠가 관람객들의 직접적인 관람을 유도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비대면 콘텐츠가 관람객들로 하여금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느냐는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비대면 콘텐츠의 활성화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대전 오월드 비대면 콘텐츠가 관람유도를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비대면 콘텐츠의 시청유도는 새로운 관람객을 유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동물을 펫으로 실시간 관람함으로서 대전 오월드의 재방문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대전 오월드의 비대면 콘텐츠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서 오월드만의 비대면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오월드가 한 단계 도약하여 대면·비대면방식의 콘텐츠를 육성하고 자 한다.
Daejeon O-World opened in May 2002. It could not get into its normal operation due to the Covid-19 outbreak in 2019. This study examined how contact-free access to the content of O-World in Daejeon can be activated. The study aimed to shed light on how contact-free content can induce on-spot patronage from visitors, thereby increasing their satisfaction. The study proposes a plan to activate contact-free content and a plan to make the current contact-free content of O-World draw patronage from visitors as sugges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Inducing people to view the contact-free content will not only attract new visitors but will also make them want to return to O-World by offering them a real-time view of their favorite pets. By researching on how to activate the contact-free content of Daejeon O-World, this study aims to develop unique contact-free content and help O-World get to the next level and nurture both contact and contact-free content.
1. 서론
2. 대전 오월드의 콘텐츠 현황 분석
3. 대전 오월드의 콘텐츠 만족도 조사
4. 오월드 비대면 콘텐츠 활성화 방안
5.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