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물류 및 운송 산업은 수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산업이지만 선진 경쟁국들과 규모와 역량을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운송업을 대상으로 연도별 생산성 변화와 영향 요인들의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국내운송업에서 기술 개발과 혁신에 의한 생산성 향상이 낮게 나타나 새로운 기술 적용을 통한 효율성 향상과 노동 중심의 산업에서 자본 중심으로의 산업 구조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분석 하였다. 둘째 창고 및 운송서비스업은 자본, 노동의 생산 요소 투입이 증가하고 있어 이로 인한 생산성 향상과 성장이 기대되고, 셋째 수상운송업은 산업 자체의 지속과 성장이 한계에 달한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무역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운 물류 부문에서 개별 기업 차원이 아닌 국가 차원에서 산업 전반에 대한 성장 대책과 조정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In Korea,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trade, the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industry is a key industry that determines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exported products, but it is shown to be relatively lagging when compared with advanced competitors in size and capacity. In this study, the contribution of yearly productivity changes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for the domestic transportation industry. As a result, first, it was analyzed that productivity improvement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novation was low in the domestic transportation industry, and thus it was necessary to improve efficiency through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and to transform the industrial structure from labor-oriented industries to capital-oriented industries. Second, the warehousing and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is expected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growth due to the increasing input of capital and labor factors. In order to do so, we derived implications that growth measures and adjustments for the entire industry are needed at the national level, not at the individual company level in the shipping and logistics sector.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분석대상 및 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