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일부의 선행연구들이 K콘텐츠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했지만, 이들은 대부분 K콘텐츠의 단편적인 부분만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K패션, K푸드, K드라마, K무비, K-POP 등 포괄적 측면에서 K콘텐츠에 대한 경험이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서 중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국인 소비자들의 K패션, K푸드 그리고 K드라마에 대한 경험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K무비와 K-POP에 대한 경험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K콘텐츠에 대한 경험의 상이한 영향력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인 소비자들에 대한 효과적인 마케팅 방안을 수립하는데 유의미한 시사점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some studie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contents and made-in products to be considered in this study have been conducted, studies that directly analyze the effect of the comprehensive K-contents experi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s of Korean-made product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comprehensive K contents measured in K-fashion, K-foods, K-dramas, K-movies, and K-pop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for Chinese consumer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Chinese consumers and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hinese consumers experiences of K-fashion, K-food, and K-drama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and K-movie and K-pop are insignificant i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marketing plans for potential Chinese consumer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가설설정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