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팬데믹으로 소비자들의 구매행태가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통적인 시장세분화전략의 유효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시장세분화의 주요 요인을 타기팅ㆍ차별성ㆍ광고 노출 등 3개 요인으로 분류한 후, 이들이 브랜드 인지 및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3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해 검증한 결과, 시장세분화에 포함된 요인 모두 브랜드 인지 및 마케팅 성과에 직접 영향을 주고, 브랜드 인지 역시 마케팅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및 팬데믹 시대 소비자들의 구매행태 변화에도 전통적 시장세분화전략이 여전히 마케팅 성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이 디지털 마케팅의 성과 제고를 위해 더 명확하고 차별화된 시장세분화전략과 소셜미디어 광고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s of firms’ market segmentation strategies on marketing performance and suggests improvements in STP for their marketing performance growth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ree hypotheses are put forward as follows: First, the market segmentation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awareness. Second, the market segmentation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marketing performance. Finally, the brand awarenes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marketing performance.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 online survey of 215 consumers was conducted on segmentation The result of the SEM shows that three hypotheses are selected. These findings mean that market segmentation, which i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raditional marketing strategies, still has a significant impact on marketing performance, despite the expansion of untact purchases by consumers in the digital and pandemic era. This paper suggests that firms need to build market segmentation strategies such as optimal targeting, strengthening brand differentiation, and activating social media advertising in order to enhance brand awareness and marketing performanc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