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745.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기업의 키르기스스탄 시장진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ntry into the Kyrgyzstan Market for Korea SMEs

DOI : 10.15798/kaici.2020.22.4.115
  • 109

본 연구는 한국 기업의 키르기스스탄 시장 진출을 위한 방안 모색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키르기스스탄은 중앙아시아 국가 중 가장 먼저 WTO에 가입하는 등 경제성장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키르기스스탄 시장을 이해하는 것이 중앙아시아 시장을 이해하고 확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기 진출 기업과의 인터뷰를 통해 키르기스스탄 시장을 점검하였으며, 현지 시장진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키르기스스탄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통관 및 검역관련 정부협의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자무역 인프라 지원 요구 등 정부의 선제적 무역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육로 중심의 운송환경에 부합하는 내륙운송 시스템 구축과 지리적 교두보로서의 현지 시장을 활용하는 물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공산품과 원자재의 Barter Trade가 가능한 전략적 교역품목을 구축함으로써 제조업 중심의 기업진출 기반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J Good Tech’, 네덜란드의 ‘Top Sector’ 등의 사례를 활용하는 것에 대비한 현지의 기업성장 촉진형 정책과 협업할 수 있는 물류산업, 섬유산업 등 타켓팅 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정부가 진행하는 신북방정책의 효과를 제고하고, 한국 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지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불어 중앙아시아 시장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있다. 다만 지리적 거리감과 문화적, 정치적 문제 등으로 인해 직접 현지를 방문하여 연구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운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키르기스스탄 시장진출이 중앙아시아를 비롯한 유라시아 지역 시장을 함께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마케팅, 현지 법제도적 측면 등에 초점을 맞춘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enter the Kyrgyzstan market for Korean companies. Kyrgyzstan is the first Central Asian country to join the WTO, showing active policies for economic growth. This shows that understanding the Kyrgyzstan market is one of the ways to understand and expand the Central Asian market. To this end, the Kyrgyzstan market was check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enterprises that have already entered the market. Suggestions through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government s preemptive trade support is needed to advance into the Kyrgyzstan market, including government consultations on customs clearance, and calls for support for electronic trade infrastructure und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land transportation system that conforms to the land-oriented transportation environment and to establish a logistics infrastructure that utilizes the local market as a geographical bridgehead.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manufacturing-oriented corporate advancement base by building strategic trade items that enable the Barter Trade of industrial goods and raw materials. Finally,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arget industries such as logistics and textile industries that can collaborate with local corporate growth-promoting policies in preparation for utilizing such cases as Japan s J Good Tech and the Netherlands Top Sector.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 s New Northern Policy and provide basic data to support Korean companies overseas expansion. In addition, it has academic value as a basic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Central Asian market. However, due to geographical distance, cultural, and political issues, there are still difficult limits to visit and research there. Nevertheless, since it is expected that Kyrgyzstan s market advance will be able to promote markets in Eurasia, including Central Asia, I will continue to carry out follow-up research focusing on marketing and local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Ⅰ. 서론

Ⅱ 키르기스스탄 개황

Ⅲ. 주요국 중소기업 지원정책 사례 및 진출 유망분야

Ⅳ. 키르기스스탄 시장진출을 위한 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