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들은 국내 금융시장 포화와 과당 경쟁 심화에 따른 성장세 둔화와 수익성 악화로 순이자마진(NIM)과 총자산이익률(ROA) 감소라는 성장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한 적극적인 해외진출이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한 은행의 해외진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다. 국내 금융(은행)회사의 해외진출 현황 등을 살펴보고, 아세안 국가인 베트남의 금융 개요와 진출전략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은행의 해외 진출은 문화적 경제적 종교적 유사성이 큰 인접국으로 부터의 진출을 통해 초기 투자와 고정비용 절감이라는 규모의 경제효과를 누리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와 경제적, 문화적, 역사적 유사성과 인연이 많은 베트남에 대한 국내은행의 진출 방안 모색은 경제적 통합성 측면에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리스크관리 강화와 IB 업무확대, 글로벌 자금관리 시스템제공, 디지털(뱅킹)업무 진출, 해외네트워크 연계, 현지은행 인수 등을 통한 마케팅 채널과 업무영역의 확장과 정부의 금융외교력 강화와 민간은행과 금융공기업의 동반진출에 대한 지원 방안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Korean domestic banks are facing decline in net interest margin(NIM) and return on asset(ROA) due to sluggish growth and decline in profitability in a saturated and highly competitive market. In order to find new growth engine, entry into foreign markets is a necessity not a cho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foreign entry of domestic banks, to provide an overview of banking in Vietnam, and to present entry strategy and implications for domestic banking firms. Vietnam with economic, cultural and historic ties with Korea makes it a good choice for entry. Korean banks seeking entry into Vietnamese market will positively affect economic integration.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on expansion of marketing channel, strengthening government’s diplomacy on banking and providing support for joint entry of public and private banking firms.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Status of Korean banks in Vietnam
Ⅳ. Entry strategy of global banks
Ⅴ.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