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1861)의 제주 지명

Place name study of Jeju to have been recorded in to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 106
커버이미지 없음

이 글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1861)에 들어있는 제주도 부분 지도의 제주 지명을 해독하고 연구한 것이다.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를 그리기 위해 여러 가지 선행 작업을 했다. 기존의 지리지를 새로 편집하여 대동지지『大東地志)』를 편찬했을 뿐만 아니라 「동여(東與」와 「청구도(靑邱圖)」 등의 지도도 작성하였다. 그리고 직접 갈 수 있는 곳은 직접 가서 답사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제주도 부분을 그리기 위해서 제주도를 직접 답사하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대동여지도』의 제주도 부분의 지도와 지명 표기 등을 분석해 보면 그것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제주도 부분 지도에서 오늘날 행정구역상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한 제주 지명은 180여 항목이 표기되어 있다. 오롬 또는 뫼 표기는 ○○岳 또는 O○山으로, 개 표기는 ○○浦로, 마을은 ○○村으로, 내는 ○○川으로, 곶은 ○○藪로, 소는 ○○淵 등으로 표기하였다.

This article is deciphers the Jeju place name of Jeju-do part map to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1861) of KimJeongHo(金正浩), and to have studied, KimJeongHo(金正浩) was pushed various works in order to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1861). In addition to them, map of Dongyeo(東與) and Cheonggudo (靑邱圖) etc. wrote too, And a place to be able to go directly went directly, and delivered a valedictory. However, a direct survey is called Jeju Island in order to thaw Jeju island section do not, and is assumed. I can easily assume it if I tries to analyze map of Jeju-do part of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1861)) and place name notation etc. The layman Jeju place name is 180 odd item is recorded nowadays to a self-government duty special Jeju at Jeju-do part maps on an administrative distri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