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제주도 조상본풀이 <양이목사본>의 한 해석

The Meaning of Yang-yi Moksabon Myth on Jeju Island

  • 114

제주도 조상본풀이 <양이목사본>은 채록된 각편이 한 편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국가 권력의 지배에 대한 제주도의 집단적 저항 의식이 드러나는 이야기로 주목되어 왔다. 본고는 <양이목사본>이 외래 국가 권력이 제주를 지배하게 된 역사적 정황과 관련되는 신화적 담론이라는 선행 연구의 토대 위에서 그 담론적 의미 혹은 의의를 좀더 세밀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양이목사본>은 기본적으로 일월조상 의 내력을 서술하는 신앙 담론이다. 육지에서 부임한 목사가 자기 희생을 통해 제주의 공납 의무를 감해 주었던 사건을 서술하고, 그 사건의 주인공인 양이목사 가 일월조상으로서 집안을 수호해 준다고 함으로써 집안 수호신의 힘 을 재확인하는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양이목사본>은 과거의 역시를 재구성하고 현재 전승 집단의 자리를 규정하는 역사 담론으로서의 의미도 지닌다. <양이목사본> 서사의 대립 관계는 외래 국가 권력이 제주도를 지배하게 되면서 재편된 제주도 내부의 권력 구도와 일치하는바, <양이목사본>은 실권을 상실한 제주 호족 탐라 양씨 집안의 역사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역사 담론으로서의 <양이목사본>은 외부 국가 권력의 대리인인 목사 를 일월조상 으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지배적 담론 질서를 교란한다는 점에서 비-동일화 담론으로서의 저항성을 지니기도 한다. 바로 이것이, <양이목사본>에서 발견되는 저항 의 특징적 변모라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myth about Yang-yi Moksa. This myth is the sacred song about ilwol-chosang , that is, a mythological ancestor and guardian deity of Yang Clan in Jeju. So, we can say that this myth is a religious discourse cause by orally narrated at domestic ritual, the myth becomes a proof of divine providence of ilwol-chosang . But the myth of Yang-yi moksa is a hitorical discourse, too. The narrative shows that how the Yang clan see the past when they lost their political power for governing of the Kingdom from the Korean Peninsula. Most of all, this myth is a discourse jumping over-not against or countering- the ruling ideology. I call it dis-identification quoting of Michel Pecheux s. I think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the myth as a peripherial discours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