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1945년-1955년의 제주지역 4·3사건 관련 유적 분포 및 주거건축물의 특징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sites related to the April Third Incident and the distribu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from 1945 to 1955

  • 94

제주지역에서의 1940년대와 1950년대는 혼란의 시기였으며 동시에 근대화로 이행해 가는 변혁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1948년에 발생한 4·3사건, 1950년에 발생한 한국전쟁과 같은 큰 사회변동 이후의 주거건축 변화에 관한 조사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관련 자료도 미비하거나 정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어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주거건축의 변화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나 조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4·3사건 관련 역사유적 및 건조물의 지역적 분포 현황 및 분석을 통해 문화재 보존과 활용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 수집에 주요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장연구의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문헌연구는 비교적 객관적이고 가장 사실적인 자료라고 할 수 있는 언론기관의 신문자료와 행정기관의 간행물 활용하였다 현장조사의 경우, 현존하는 주거건축물에 대한 실측 조사와 현지의 지역주민의 관련증언 등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주거건축물의 특징을 분석함에 있어서 형태, 공간, 재료, 구조 및 설비의 요소를 중심으로 특징적인 부분을 다룰 수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형태적 측면과 공간적 측면을 중심으로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4·3사건 조사보고서의 자료를 활용하여 피해의 공간적 분포 특징을 새롭게 분석하였고 특히 토벌대의 주둔지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피해정도가 커서 상호관련성을 짐작할 수 있었다. 소실된 마을, 은신처, 학살터, 그리고 방어목적으로 구축된 성(城) 등은 지역적 분포가 각각 다른 특정을 보였는데 이는 토벌대의 작전전개 방식이나 지역적 여건 등이 반영된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1950년대 들어 한국전쟁으로 인해 피폐화된 사회를 재건하기 위해 피난민주택, 후생주택(재건주택)의 주택들이 건축되었고 이들 주택들은 입시적으로 방어목적으로 구축된 성(城)을 제외하고는 이들 구조물은 제주의 전통 건축과는 전혀 다른 재료 즉 시멘트와 목재를 사용하는 등 재료적인 차이점도 있으나 형태와 공간구조를 구축된 건축물이라는 점이 가장 특징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4·3사건 관련 유적과 주거건축물의 분포를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나 연도별 그리고 규모별 특징분석에 이르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자료수집과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1940s and 1950s were a period of both great chaos and great change for the Jeju region. The April Third Incident of 1948 and the ensuing Korean War, beginning in 1950, were events that altered society greatly, but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how these events impacted residential architecture. Furthermore, as the related sources and materials from this period are somewhat lacking, there appears to be a need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se sources and materials to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of these events on residential architecture. This research aims to serve as a basis for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assets by analyzing the historical sites related to the April Third Incident and the distribu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from that period.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analyzing original source documents and by visiting relevant sites. First, for the original source documents, we selected newspaper articles from media organizations and periodicals from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hat what we deemed to be relatively objective and the most factual. Second, for the on-site visits, we surveyed some still-existing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analyzed the testimonies of residents who lived in those areas. Analyses of residential architecture typically include form, space, material, composition and facilities, however our analysis focused primarily on form and space. Based on sources from the April Third Incident, we analyzed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as being characterized by damage spatial distribution, especially in areas where the leaders of the suppression were concentrated.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lost villages, places of refuge, massacre sites, and fortresses designed primarily for defensive purposes was interesting, but we interpret it to be a reflection of the strategy of suppression by the punitive force. In addition, in order to rebuild the society after the Korean war of the 1950s, refugee camps were constructed and destroyed homes were rebuilt. With the exception of temporary fortress built primarily for defensive purposes, these were built with materials that were total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Jeju architecture, such as cement and wood. The most interesting differences, however, were those of form and space composition. This research was limited by the fact that we did not analyze the specific years of completion or the size of the structures, and thus there still remains a need for a survey of diverse source materials and research.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