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제주 세계유산을 활용한 관광활성화 방안 모색

The Promotion Plan of UNESCO World Heritage in Jeju Tourism

  • 160
커버이미지 없음

제주도는 그 지형과 자연자원의 우수성을 세계로부터 널리 인정받게 됨으로써 유네스코로부터 2002년에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고, 이어서 2007년에는 세계자연유산으로 그리고 2010년에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을 받는 등의 쾌거를 계속하여 맞게 됨으로써 유네스코 자연과학 분야 3관왕의 타이틀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주도는 1906년대 까지만 하더라도 관광객이 거이 찾아오지 않는 농어촌에 지나지 않아서 통계상이 자료에 의하면 매년 제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수천 명에 불과하였다고 한다. 오늘날의 제주도는 1970년대 이후 적극적인 관광개발사업이 추진됨으로써 2012년의 경우 97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여 메가투어리즘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제주도의 약 1천만 관광객의 배경에는 2002년부터 유네스코가 지정하거나 유네스코에 등재가 된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자연유산, 제주도지질공원 등의 역할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세계자연유산, 지질공원, 생물권보전지역은 대부분 중복되고 있어서 그 어느 하나를 떼여놓고 따로 관리할 수 있는 성질의 자원이 아니지만 자원의 특성상 세계자연유산은 보존적 측면, 생물권보전지역은 보전적 측면, 지질공원은 관광적 측면이 강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의 경우는 같은 자원이 이 3개의 범주의 모두 포함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존, 보전, 복원을 모두 아우르는 보호적 측면에서의 관광자원의 관리가 필요하지만 아직 그렇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세계유산을 중심으로 하여 크게 성장발전하고 있는 제주관광산업이 생태관광 차원에서 향후에도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주민 중심의 통합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구축, 관광객의 분산에 의한 혼잡도의 감소 및 자원의 보호, 자연의 문화가 어우러진 융복합 관광루트의 조성, 스토리텔링 융합 콘텐츠의 개발과 적용, 다크투어리즘. 잣성과의 연계상품 개발등의 방안모색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Jeju Island is known for famous volcanic Island. The Island has been gush out from the deep sea about one million eight hundred thousand years ago. Landscape of Seogwipo has formulated by the strong wave for about five hundred fifty thousand years. In the center of the Island, the beautiful Hallasan National Park is located, which is the shape of shield. Right after the Ice Age, about eighteen thousand years, the submarine volcanic movement has been activated along with Seongsan Ilchul- bong (Sunrise Peak) and the Songak Mountain. That is the exact landscape of the Jeju today. This kind of creative background of Jeju landscape has been certified by the UNESCO in 2002 for the Biosphere Reserve Area, and in 2007 it was registered as the world Heritage, and in 2010 as the Grobal Geoparks Network. Despite of these natural beauty, not many people has visited the island in the period of nineteen sixties. From the nineteen seventies up to day, the governments have controlled the entire tourism development policies with the civilian investors and the toursis came up to over ten millions. Gaining the title of the UNESCO Triple Grown the value of Jeju Island has improved world wide. The natural resoruces of The UNECO Triple Grown needs tight tourism management in the ways of preservation,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protection. Especially, the Seongsan Ilchool- Bong needs tight managements because so many people visit as compared to others. On the other hand, the Geomunoreum Volcanic needs more business control for not many people visit yet as compared to others. In view of ecotourism, such natural resources did not performed as local cultural resource properly because the local government, entrepreneur and the residents were not harmonized enough to give much attention to it. In this study, we wants to concentrate to develop an unique world heritage management system. A co-operated resources management, an effective tourism occupancy, development of convergence tourism product, and dark-tourism etc.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