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연구 목적은 청소년복지실천현장에 대해 이론적 및 법률적 차원에 서 논의하고, 제주지역의 청소년복지시설ㆍ기관의 실태와 주요 사업 및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 사항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문헌연구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주요 문헌자료는 국가법령정보센터의 법률, 갱부기관ㆍ지방자 치단체ㆍ청소년복지기관 및 시설이 발행하는 각종 출판물ㆍ홍보물ㆍ신문, 청소년복지기관 및 기관의 홈페이지 자료 통계자료, 지방일간지와 제주사회 복지신문 자료 둥이다. 연구 내용은 청소년복지실천현한 대한 정의, 청소년시절ㆍ기판의 설치ㆍ운영ㆍ사업에 대한 이론적 및 법률적 논의, 제주지역 의 청소년복지실천현장 사례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지역의 청소년복지실천현장에 대한 분석 결과 발견된 문제점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청소년문화의 집 설치 수는 법률상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옷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역 간 청소년 문화시설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둘째, 제주지역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 상황은 대체로 만족스럽지 못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일부 청소년수련시설들은 안전상의 문제를 지니고 있다. 넷째, 청소년쉼터와 같은 청소년복지시설은 사회복지법상의 사회복지시설로 포함되어 있지 않아 운영상 정제적 부담을 겪고 있다. 발견된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 첫째, 청소년문화의 집이 부재한 지역에 청소년문화의 집을 확충해 나가려는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들의 문화 및 취미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고 청소년문제 해결을 위한 청소년수련시설 환경을 개선하고 확충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청소년수련시설 강화를 위해 정기적으로 시설 점검을 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 나가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사업법상의 사회복지사업 정의에 청소년쉼터 등의 청소년복지 시설이 포함되어 여타의 복지시설과 같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법개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youth welfare practice field in Jeju. The method I shall follow is to analyse the existing documents and public statistical data. Ma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First, the number of youth culture house institution does not satisfy the lawful standard. Accordingly the disproportion between communities appears. Second, it is appear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is unsatisfactory. Third, a part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has security problems. Fourthly, a part of youth welfare facilities is in economic difficulties. On the basis of the major findings, we can present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First, it is need that youth culture house is expanded Second, it is need that the youth training facilities environment is improved and expanded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adolescent’s culture and hobby activities. Third,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trive to provide security environment for yo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