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굴딸기의 종내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꽃의 형질에 의해 유형화 한 3가지 유형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 분석, 주성분분석. 화분학적형질 분석, RAPD 및 PCR-RFLP분석을 실시하였다. 외부형태에서는 꽃잎과 꽃받침의 크기. 정소엽과 소엽의 크기 등이 3개의 유형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형질이었지만 줄기, 화경의 길이, 잎의 거치형태, 엽축의 길이, 잎에 털의 분포양상 등은 변이가 없었다. 14가지의 외부형태형질을 이용한 주성분분석에서 3가지 변이형태는 유형별로 구별이 가능하였다. 화분학적 형질에서는 화분입상, 발아구의 수, 표면무늬 등에 있어 매우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RAPD분석에서는 20개의 primer 중 8개가 분류군 전체에서 반응을 보였고 이로부터 총 33개(60%)의 다형화 밴드를 얻었으며, 유집분석 결과 type 2는 독립적으로 소그룹을 형성하였지만 다른 두 가지 변이형의 개체들은 서로 중복되어 유집되어 나타났다. PCR-RFLP분석은 엽록체 DNA 중 증폭된 일부 구간을 얻을 수 있었지만 제한효소 처리 결과에서는 다형화 밴드를 전혀 찾을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덩굴딸기의 종내변이 형태는 외부형태형질에 따라 유형별 구분이 가능하였지만 화분학적 형질이나 DNA수준에서는 전혀 뒷받침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type 1과 2는 정상개체와는 꽃의 형질에 차이가 있으나 동일한 자생지에 함께 분포하므로 자연잡종에 의한 일시적인 변이형이거나 생태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Taxonomic studies on morphologic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palynological, RAPD and PCR-RELP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traspecific relationships of Rubus oldhami. Three types of Rubus oldhami based on the flower characters such as petal length and number were used in this study. Among the 14 morphological characters, perianth length, calyx lobe length, apical leaflet shape and leaflet length were used to distinguish for each type. The pollen characters such as shape, aperture number, surface sculpture were showed very similar among three types. Eight primers out of 20 arbitrary primers were screened for three types, and were revealed 33 (60%) polymorphic bands. The phonogram by RAPD data showed incongruent with morphological analysis. Even though ten restriction endonucleases produced 20 restriction sites, polymorphic bands were not observed. Based on the results, three types of Rubus oldhami divided well by morphological characters, but pollen and DNA data were not supported. Therefore, type 1 and 2 which different from type 3 by flower characters considered as a temporary hybrid or ecotype because of their similar habitats.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사사
인용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