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강원도 음나무 자생 임분의 입지환경, 식생구조 및 동태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Kalopanax septemlobus (Thunb.ex Murray) Koidz. in Gangwon-do

  • 4

음나무 자생지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개체목 단위로 산재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음나무의 군집을 탐색하고, 인위적 간섭이 적고 보전상태가 양호한 강원도 흥정산, 발왕산, 가리왕산 지역을 대상으로 지형, 토양특성 등의 물리적 환경과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1. 음나무 자생지의 입지환경 조사 결과 분포범위는 해발고 780~1,300m의 북서, 북동 및 북향을 중심으로 경사가 심한 산복-사면에 위치하였으며, 토양 산도는 5.81(±0.05)로 비교적 중성에 가까운 토양이며, 양이온치환용량(C.E.C.)은 평균 22.30(±8.1)(me/100g), 유기물함량 8.63(±0.48)%로 비옥한 토양이였다. 2. 음나무의 평균 연륜 생장량은 1.60~2.41mm/year으로 발왕산이 2.41mm/year로 가장 높고, 가리왕산 1.98mm/year, 흥정산 1.60mm/year 순으로 생장량을 나타냈다. 초기 20년간의 생장량은 평균 생장량 보다 컸으나, 그 후는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TWINSPAN에 의한 군집의 분리는 지역간의 군집분리에 중요하게 작용하였으며, 음나무림의 평균 상대우점치 (MIV)는 흥정산지역 24.55%, 가리왕산지역 29.25% 그리고 발왕산지역 38.28%로 나타났으며, 종다양도는 전체적으로 1.3124~1.3992 범위를 보여 대체적으로 3개 지역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음나무 층위별 분포형(Morista s index)은 교목층, 아교목층 및 관목층이 각각 0.9629, 2.9570, 20.5419로 나타나 교목층은 임의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집중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종다양성 분석 결과 상대우점도의 범위가 0.1476~0.2065으로 몇몇 종에 의한 단순림을 이루지 않고 다수의 종에 의해 혼효되어 자생하고 있으며, 유사도지수는 64.31~64.54% 범위로 3개 조사지역간에 식생의 연속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조사지의 상대우점치를 이용한 종간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음나무는 사스레나무, 물참대, 까치박달나무 그리고 들메나무와는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린재나무 1%, 쪽동백, 고로쇠 나무, 나래회나무, 느릅나무는 5%수준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생태적 지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7. 직경급 분포에 의한 개체군의 생육 동태를 예측한 결과 흥정산 지역은 정규분포를 보여 앞으로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하며, 발왕산의 경우에도 소경목에서 대경목에 이르기까지 골고루 출현하여 음나무림의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나 가리왕산의 경우는 치수나 어린 개체가 출현이 되지 않고 중경급과 높은 직경급의 개체의 밀도도 높지 않아 앞으로 이 집단에서는 음나무 집단의 지속적인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Site characteristics,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Kalopanax septemlobus forests in Mt. Heungjeong, Mt. Balwang and Mt. Gariwang were studi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ed for national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K. septemlobus forest in Gangwon-do of Korea. The K. septemlobus forests were distributed at 780m to 1,300m in altitude, steep slope, ridges-slope areas with facing northeast to northwest in good nutrition area. The annual diameter growth of those trees ranged 1.60mm to 2.41mm. Forty-three plots(20×20m) were set up at three natural population of Kalopanax septemlobus forest and TWINSPAN method was used for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 of TWINSPAN ordination show that geographical features played a role in determining community types in the study areas. Community type of the study are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TWINSPAN; K. septemlobus-Quercux mongolica- Acer mono community(Mt. Balwang), K. septemlobus-Q. mongolica- Tilia amurensis community(Mt. Heungjeong), K. septemlobus-Betula costata-Q. mongolica community(Mt. Gariwang). In most of the K. septemlobus forests, major woody species appeared predominantly were Q. mongolica, T. amurensis, Acer pseudo-sieboldianum, Lindera obtusiloba, A. mono, Magnolia sieboldii,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nd also, Those species were surveyed in all the areas. Species diversity(H ) of investigated areas ranged 0.3124~0.13992 and this valu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forests with similar site. The range of similarity indices between surveyed areas was 64.1~64.54%. The distribution pattern of Morista s index show that Kalopanax septemlobus distributed randomly in tree and concentrated a few sample plots in subtree layer and shurb layer. K. septemlobus occupied 37.1~58.8% of tree layer story, 8.4~17.6% of subtree layer, 0~0.38% of shurb layer each surveyed area. The association analysis showed that Kalopanax septemlobu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tula ermani, Deutzia glabrata, Carpinus cordata, Fraxinus mandshurica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Symplocos chinensis var. pilosa, Styrax obassia, Acer mono, Euonymus macroptera,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the diameter distribution of Kalopanax septemlobus community, the community of Mt. Gariwang will gradually decline and replaced by Quercus community. The communities of Mt. Heungjeong and Mt. Balwang has its seedlings and saplings, so it may be sustained.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