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between Stress and School-life Satisfact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 146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대학생들의 마음챙김이 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과 충청도 지역 4개 대학의 여자 대학생 550명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종속변수의 차이는 ANOVA를 사용해서 분석했다.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대인관계관련 스트레스는 학년, 주관적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마음챙김은 주관적 경제수준과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학교생활만족도는 학년, 주관적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또한 대인관계관련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상기 연구결과를 근거로 보았을 때 여자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마음챙김 정도를 고려한 스트레스 감소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때 학년, 경제적 수준, 건강 수준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자를 구분함으로써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if mindfulness interacted with stress and relieved the negative effect of stres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550 female students at four colleges in the capital area and Chungcheong-do and the data were collected in May 2019. ANOVA was carried out for the variation of the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related stress differed by school year,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Mindfulness differed by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chool life satisfaction differed by school year,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Mindfulness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on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related stre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conclus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relieve stress regarding the level mindfulness, with the objective of making female college students more satisfied with their school life.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by grouping the subjects, taking into account such characteristics as school year,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 의

5. 결 론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