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903.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예술교육사 공예 교육 현황분석을 통한 방향성 모색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raft Education through Current Situation Analysis of the Certificate System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 Focused on the Curriculum for the Certificate System of the Craft Field

  • 206

2012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의 개정에 따라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및 문화예술교육 인력 양성 경로를 다양화하고 사회적 신뢰를 높이고자 문화예술교육사 국가 자격제도가 시행되었다. 2019년 제2차 교부 기준으로 18,466명의 인원이 문화예술교육사 국가 자격을 취득하였으며, 이들 중 공예 분야 취득자는 1,074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사 공예 분야의 취득 현황, 연구 현황, 교육과정 내의 교육과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교육 간 괴리 문제 등을 알아보았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예술교육사 관련 기관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또한, 공예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취득 후 현재 교육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육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시행하여 문화예술교육 공예 교육의 현 상황을 점검해보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과정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사 공예 분야의 양성 교육 현황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예 교육 간의 균형성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현실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의 분석을 통해 향후 발전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제시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in 2012, art and culture education has been more socially emphasized than before, and for better social credibility, various routes for training and certificate systems have been developed ever since. With the second certification issued in 2019, 18,486 applicants acquired national certificates for instructor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out of these people, 1,074 acquired certificates in the field of craft.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current situations on obtaining certificates for instructor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craft field and also looked closely into the curriculum as well as some problems found in the actual teaching field. I used statistics data given by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 Tourism and other organizations related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Also, I had close interviews with craft teachers working in the actual field after obtaining the instructors’ certificates for arts and education specifically in the craft field and examined the current conditions of craft education. Therefore, with above procedures, I suggest a future direction we need to promote in order for the problems to be solved. With above procedures mentioned, I examined the balance between the teaching training conditions and the art education being done in the actual teaching field, and through an analysis of related realistic problems often raised, I suggest a future direction we should promote.

Ⅰ. 서론

Ⅱ. 문화예술교육사 공예 교육의 개요

Ⅲ. 문화예술교육사 공예 교육의 현황 심층 면담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