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 지표 가중치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tting Weighted Values for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dex
- 한국주거환경학회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 住居環境 제18권 제4호 (통권 제50호)
-
2020.12295 - 304 (10 pages)
-
DOI : 10.22313/reik.2020.18.4.295
- 71

본 연구는 국가균형발전표의 세부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1차 계층구조에서는 핵심지표의 중요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그리고 2차 계층구조에서 핵심지표의 경우 ‘연평균 인구증감율’, 객관지표의 경우 ‘사회부문’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객관지표의 세부항목별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최근 3개년 종사자수 증감률’과 같은 지역내 일자리 분야에 대한 중요성이 높게 도출되었으나, ‘인구천명당 객석 수’와 같은 문화분야에 대한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역균형발전 지표가 지니는 본질적인 기능은 균형발전 목표들을 어느 정도 달성하였는가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중앙정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등 관련 당사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노력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는데 있으며, 궁극적으로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효과적 수립 및 효율적 추진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가능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weighted values for subsections in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dex. The analysis results show a high degree of importance for the key indicators of the primary hierarchy.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a key indicator of the secondary hierarchy specifically ‘average yearly rate of population change’, and the objective indicator ‘social sector’ exhibited high degrees of importance. Upon analyzing the weighted values for subsections of the objective indicators, the study found that the field of jobs in the region, such as the ‘change in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past three years’, exhibited a high degree of importance. On the other hand, the culture field, such as the ‘number of seats per one thousand population’, was perceived as having a relatively low degree of importance. The essential function of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dex is to inspect the degree of achieving balanced development goals and to provide these results to the parties involved such as central government, regional local government, and basic local government, thereby supporting their efforts and decision making and ultimatel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In this respect, the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ly establishing and efficiently pushing forward with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방법 및 자료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