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기반 집적원리에 기초한 도시지역 상권의 구역별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Districts Based on Agglomeration Using GIS : Focused on the Hong-dae commercial districts in Seoul
- 한국주거환경학회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 住居環境 제18권 제4호 (통권 제50호)
-
2020.12117 - 129 (13 pages)
-
DOI : 10.22313/reik.2020.18.4.117
- 241

본 연구의 목적은 상권형성의 기본원리인 점포집적에 따른 도시지역 상권의 구역별 특성을 분석하여 개별 점포와 지역발전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로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활성화되고 홍대 상권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점포집적에 따른 구역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대상지 총 8개 업종 3,938개 점포에 관하여 QGIS 기법을 사용하여 동종 및 이종집적에 따른 5단계로 상권 구역을 분류하였다. 구역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고밀 구역일수록 통행량과 사업체 종사자가 증가하였고, 거주인구는 낮은 특성을 보였다. 또한, 고밀 구역에서는 비 구매형 업종인 음식업은 비율이 높았고, 저밀 구역에서는 구매형 업종인 도소매업은 비율이 높았다. 이때 생활서비스업은 비 구매형임에도 저밀 구역에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홍대 상권이 외식과 유흥에 집중된 특성에 띄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영업구조에서 프랜차이즈 비율은 업종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대체로 저밀 구역으로 갈수록 크게 낮아졌다. 본 연구는 밀도단계에 따른 구역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개별 점포의 창업과정에서 초기비용을 절감하고, 향후 운영효율을 위한 차원에서 실제적 가치를 갖게 된다. 이를 토대로 후속연구에서는 입지에 따른 개별 점포의 성패와 지역상권의 발전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위해 더 발전적 방향으로 보완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trict of commercial districts in urban areas according to store aggregation,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of the formation of commercial districts, and propose them a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individual stores and reg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business district of Hongdae was selected as the target area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according to the store s collection. 3,938 store information from eight industries were coll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district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five-level zones according to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aggregation using QGIS techniqu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zone, the traffic and business workers increased in the dense area, and the residential population showed lowe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non-purchasing businesses in high-precision areas was high, while the wholesale and retail sectors in low-precision areas were high. At this time, the living service industry showed a high proportion in low-precision areas, even though it was non-purchasing, which is interpreted as the fact that Hongdae s commercial districts are concentrated on dining out and entertainment. Franchise rates in the business structure differed slightly depending on the industry, but in general, the ratio dropped significantly to the lower density areas. This study reduces initial costs in the start-up process of individual stor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zone according to the density stage, and has practical value in terms of future operational efficiency.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대상지 선정 및 개요
Ⅳ. 집적에 따른 구역별 상권특성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