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move: focus on neighboring areas of Naepo newtown
- 한국주거환경학회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 住居環境 제18권 제4호 (통권 제50호)
- : KCI등재
- 2020.12
- 91 - 103 (13 pages)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건설하고 있는 내포신도시가 인접도시인 홍성과 예산의 도심공동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홍성과 예산에서 생활하는 주민의 주거환경만족도와 내포신도시로의 주거이동의향을 분석하고,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정책제언을 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합적인 주거환경만족도를 분석한 결가 3.16점(5점 만점)이고, 종합적인 주거환경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은 ‘편의시설과 일자리 관련 요인’이고, 다음이 ‘주택요인’이다. 내포신도시로의 주거이동의향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26.0%가 이사를 원했고, 주거이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안심과 청결 관련 요인’이고, 다음이 ‘재난 관련 요인’이다. 결국, 물리적·심리적 안전·안심요인의 불만족이 지역을 떠나게 하는 주요 주거환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19이후 더욱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내포신도시로의 이주의향을 분석한 결과, 30대와 40대, 대졸이상, 공무원·사무·전문직 종사자, 소득이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젊은 엘리트 성향의 사람들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아 지역활력도 약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한편, 한정된 지방정부재원으로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가 중점 추진 중인 ‘생활SOC 공급사업’과 연계하고, 인구와 수요가 감소에 있는 지방도시의 현실을 감안하여 개별적인 생활SOC공급보다는 여러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생활SOC 복합화’를 통해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There is ongoing concern that Naepo newtown having been constructed for balanced regional growth could make the centers of Hongsung and Yesan vacant.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residents’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ntention to move to Naepo,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empiric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e degree to which residents are satisfied with residential conditions is measured as 3.16 out of 5 points and affected obviously by a convenient facility and job-related factor. According to the results on intention to migrate to Naepo, 26.0% of respondents wanted to move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migration were summarized as (i) convenient facilities and job, (ii) safety and cleanliness, and (iii) disaster. Thus, dissatisfaction with respect 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safety perspectives works as a key reason for residents to leave. It is expected to be deepened after COVID-19. Especially, people who are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or college-educated, work in government offices, white-collar or professional jobs, or have higher income are more likely to move to Naepo. That is, relatively young and elite people tend to leave, and thus the area would lose its vitality. In order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s with help of local government which is unfortunately limited in finance, it is necessary to link the central government’s project of supplying living SOC.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supply living SOC which is multi-purposed with various functions because both population and the demand are decreasing in rural areas.
Ⅰ. 서 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