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067.jpg
KCI등재 학술저널

최근 프랑스 헌법개정안에 관한 고찰

Un examen des récents révisions constitutionnelles française - Focalisation sur la révision de la Constitution de 2018

DOI : 10.15539/KHLJ.55.4.1
  • 242

헌법개정이란 헌법이 스스로 정한 개정절차에 따라 기존 헌법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헌법의 조문이나 문구를 의식적으로 수정, 삭제, 증보함으로써 헌법전의 내용을 바꾸는 것으로 자유민주국가에서는 끊임없이 헌법개정이 논의된다. 프랑스 경우 현행 제5공화국에서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발전에 따른 지속적인 변화와 적응을 위해 24차례에 이르는 다양한 헌법개정을 단행하였다. 특히, 2008년 7월 23일에 단행된 24번째 헌법개정은 프랑스 헌법의 현대화를 위해 헌법 47개 조항을 개정할 정도로 헌법 전반에 걸친 개정이었고, 이후 발의된 2018년 헌법개정안은 더 대표적이고, 더 효율적이며, 더 책임 있는 민주주의 체제 국가확립을 위한 개정안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1987년 제9차 개헌 이래 경성원칙에 따른 개정절차로 인하여 33년간 다수의 개헌논의가 있었으나 단 한 차례의 헌법개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헌법개정안 내용도 정부 형태나 대통령 임기, 그리고 대통령의 권한 등 주로 국가권력 구조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현대 복지주의 헌법의 궁극적인 목적이 국민의 기본권을 최대한으로 보장하는데 있고, 국가의 조직과 구성에 관한 사항들은 이를 담보하고 있으므로, 결국 헌법개정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주권자인 국민의 정치적 의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국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발의된 프랑스 2018년 헌법개정안도 이전의 헌법개정과 달리 보다 더 근본적인 헌법의 존재 목적 즉, 더 대표적이고, 더 효율적이며, 더 책임 있는 민주주의 체제 국가확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논의되고 있는 헌법개정안 내용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지만, 무엇보다 우선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자유민주주의의 핵심인 국민주권주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2018년에 발의된 프랑스 헌법개정안의 예처럼 국민주권주의가 한층 더 강화되는 방향으로의 헌법개정을 고려해 볼 만하다 할 것이다.

La révision constitutionnelle consiste à changer le contenu de la Constitution en modifiant, supprimant ou augmentant consciemment les articles ou les phrases de la Constitution, tout en maintenant la similitude de la Constitution existante selon la procédure de révision fixée par la Constitution elle-même. Dans les pays démocratiques des révisions constitutionnelles sont constamment débattus. Dans le cas de la France, 24 fois différents révisions constitutionnelles ont été mis en œuvre dans l actuelle Cinquième République afin de changer et de s adapter continuellement au développement de l économie, de la société et de la culture. En particulier, le projet de révisions constitutionnelles en 2018 est une révision visant à créer un État démocratique plus représentatif, plus efficace et plus responsible. Pendant ce temps, notre pays, depuis le neuvième révision constitutionnelle en 1987, il y a eu un certain nombre de discussions sur la révision pendant 33 ans, mais pas une seule révision constitutionnelle n a été fait. Et puis, le contenu de la révision constitutionnelle était principalement lié à la structure du pouvoir de l État, comme la forme de gouvernement, la durée du mandat du président et les pouvoirs du président. Cependant, la clé la plus importante dans la révision de la constitution est de s assurer que la volonté politique du peuple souverain peut être reflétée rapidement et précisément dans l administration de l État. Par conséquent, il vaut la peine d envisager la révision constitutionnelle dans le sens d un renforcement supplémentaire de la souveraineté nationale, comme le projet de la révision constitutionnelle français proposé en 2018.

Ⅰ. 서 론

Ⅱ. 프랑스 제5공화국 헌법개정의 흐름

Ⅲ. 2018년 프랑스 헌법개정안 분석

Ⅳ.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Ⅴ. 결 론

로딩중